전후방 산업까지 피해 천문학적

업계에 끼치는 영향 너무 커
‘죽이는 방역서 살리는 방역’
농가들, 정책 전환 거듭 촉구
산학연, 연구 개발 활발 진행
제조업체, 즉시 상용화 가능
인체 감염 위험 반대 여론도

 

 

목차
□고병원성 AI 백신, 해외 현황은
■우리나라는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최근 전 세계를 강타한 고병원성 AI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대규모 살처분으로 인해 계란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등 국민경제 전반에 적잖은 후유증이 이어지고 있다.
이같은 사태가 잠잠해질 기미가 보이지 않자, 세계 각국은 가금류에 대한 고병원성 AI 백신 접종을 검토하고 있다.
지난 3월 유럽이 가금류에 대한 고병원성 AI 백신 접종을 허용한데 이어, 프랑스는 올 가을부터 백신 접종을 시작할 계획이다. 미국 정부 역시 역대 최악의 고병원성 AI 발생으로 가금류에 대한 백신 접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떨까. 
정부는 지난 2018년 고병원성 AI 항원뱅크를 구축해, 현재 닭 2000만 마리 접종분(1000만 마리×2회)을 만들 수 있는 AI 항원을 확보하고 있다. 전국적인 AI 확산에 따라 살처분만으로 통제가 불가능할 경우 일주일 내에 긴급하게 백신을 생산해 접종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방역당국은 백신 대신 AI 발생농장과 주변 농장에 대한 살처분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따른 재정소요액만 해도 △2003~2004년 874억 원 △2006~2007년 339억 원 △2008년 1817억 원 △2010~2011년 807억 원 △2014~2015년 3364억 원 △2016~2017년 3621억 원 △2017~2018년 906억 원 △2020~2021년 1610억 원 △2021~2022년 362억 원에 달한다. 여기에 전후방 산업 등 간접적 피해까지 포함한다면 그 규모는 천문학적인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산란계농가들은 고병원성 AI 백신접종을 요구하고 있다. 매년 겨울 철새가 유입되고 있고 살처분 정책이 가금산업 근간을 흔들 정도로 업계에 끼치는 영향이 큰 만큼 이제는 ‘죽이는 방역이 아닌 살리는 방역’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산학연에서도 고병원성 AI 백신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백신 연구 제조업체 ㈜바이오포아에 따르면 고병원성 AI 생독 벡터백신을 연구·개발해 즉시 상용화가 가능한 상태다. 또 송창선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도 NDV 벡터 백신을 활용한 고병원성 AI 백신을 개발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인체감염 위험 등의 이유로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중국이 AI 백신 접종을 시작하면서 무수한 바이러스 변이가 일어났던 만큼 AI 백신 접종으로 인해 인체감염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게 그 이유다.
AI 바이러스의 경우 144가지의 다양한 혈청형이 존재하고 변이가 쉽게 일어나는 점도 반대의 이유로 지목된다.
아울러 오리에는 효과가 낮고 육계·토종닭 등 단기 사육축종에서는 접종이 무의미하며, 국민에게 불안감을 조성해 가금산물 소비가 급감할 우려도 배제할 수 없어 백신 문제는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