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국열 기자] 해괴하다. 동물복지 논란이 일면 항상 축산업에 불똥이 튄다. 산업 특수성에 대한 고민도 없이 동물을 학대하는, 생명을 죽이는 혐오산업으로 전락한다. 
아이러니하게 생존에 필수적인 먹거리의 상당 부분을 제공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축산업을 바라보는 시선은 차갑기만 하다. 엄격해진 동물복지 요구 수준에 발맞추려는 축산농가들의 노력은 묻히면서 말이다.  
얼마 전 서울 어린이대공원에서 얼룩말 ‘세로’가 탈출하는 소동이 알려지며 동물원 사육 환경이 도마 위에 올랐다. 동물들이 인간의 욕심으로 제한된 공간에서 자유를 박탈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덩달아 공장식 농장이라는 비판이 축산을 향한다. 일부 동물보호단체들은 가축의 사육마릿수를 줄이던지, 사육 방식을 방목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한다. 
원론적인 주장이다. 설사 가축 사육마릿수를 줄이고, 방목으로 전환한다고 해서 동물복지의 굴레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인류가 축산물을 섭취하고, 축산업이 지속되는 한 이러한 비판은 계속될 것이다. 
무엇보다 일반적인 동물복지와 축산업의 농장동물복지는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처지가 다르다. 가축은 경제동물이다.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존재로 반려동물이 아니다. 사육한 가축들의 희생으로 얻은 고기, 젖, 알 등의 축산물은 축산농가의 소득원이며 효율적 생산과 안정적 공급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현장과 동떨어진 동물복지는 축산업 쇠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더구나 방목은 서구권과 달리 국내 사정상 불가능한 여건이다. 
사실 동물복지를 가장 원하는 건 축산농가일 수 있다. 시대적 요구는 물론 소비자들도 갈수록 동물복지농장에서 생산된 축산물을 선호하는 만큼 경쟁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상적인 동물복지를 실현하겠다는 목적으로 무리한 규제로 이뤄지는 일은 없어야 한다. 그에 앞서 당사자인 축산업 종사자들과의 충분한 대화와 동의가 먼저다. 
동물복지는 시간을 갖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조급한 동물복지는 반발과 부작용만 일으킬 뿐 해법이 될 수 없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