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혜진 기자] 수년째 낙농산업을 둘러싼 여건이 나아질 기미가 없다. 소비 침체 장기화에 따른 유업체들의 경영악화, 출산인구 감소로 인한 소비기반 위축으로 인한 낙농산업의 위기. 
많은 수식어들이 낙농산업의 어려움을 대내외적으로 알리고 있지만, 뾰족한 대안은 아직까지도 나오지 않고 있다. 
정부는 낙농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원유의 용도별 차등 가격제를 도입하고, 검정 농가에 대한 인센티브 지급, 저지종 육성 사업 지원 등을 골자로 한 대책을 내놓았지만, 현실적으로는 역부족이다. 
낙농 선진국들은 현재 산업을 육성하고 보호하는데 포커스를 맞춘 중장기 정책들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오히려 전체 생산량을 축소하고 산업을 위축시키는 정책으로 산업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리는 만무해 보인다. 점점 어려워지는 여건 속에서 신규 인력의 투입이나 투자는 언감생심이다. 
현재 낙농가들은 후퇴하지 않고 현상 유지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입을 모은다. 현상 유지만 한다 해도 실질적 소득이 줄어드는 용도별 차등 가격제 도입으로 현장 농가들은 활력을 잃고 있다. 이제는 폐업도 마음대로 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목장을 폐업하려면 쿼터, 목장부지, 조사료포 등에 대한 매매가 이뤄져야 한다. 낙농 수급 상황에 따라 변동되는 쿼터의 경우에는 낮은 가격에라도 거래가 이뤄지지만, 규모 있는 목장의 축사는 제값을 받기 어려워 애물단지로 남는 경우가 다반사다. 
실제로 폐업 농가 가운데 축사를 매매하지 못해 보유하고 있는 사례를 쉽게 볼 수 있다. 일부에서는 한우사로 변경해 매매가 이뤄지기도 하지만, 드문 사례다. 
산업에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신규 인력의 진입 장벽이 높은 낙농 산업의 특성 때문에 더욱이 산업이 고립되면서 상황이 악화하고 있다. 뉴질랜드, 캐나다 등 낙농 선진국들은 이미 우리와 같은 상황을 겪으면서 다양한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신규 인력 투입을 위한 제도적 장치와 기존 구성원들이 함께 목장을 운영할 수 있는 협업 목장 운영 방안 등이다. 국가 주도로 이행되는 정책들과 자구책으로 마련된 정책들이 함께 시행되면서 산업을 지탱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낙농산업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뉴질랜드의 쉐어밀커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뉴질랜드는 고령화와 인력난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목장주와 수입, 노동 등을 분담해 운영하는 쉐어밀커가 오랜 기간 동안 운영되면서 자리 잡고 있다. 단순히 목장에 고용되는 인력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쉐어밀커는 고용 형태에 따라 수익을 분배하는 구조이다. 최근 발표된 글로벌 데어리 리포트에 따르면 최근 인력난이 장기화하고 낙농업과 관련 기술을 가진 숙련자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전체 농가의 약 40%가 쉐어밀커 목장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통계적으로 낙농가의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하지만 이에 대한 대책은 전무하다. 아직도 1세대들의 노동력과 자본력에 의지한 산업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낙농 산업이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동력이 필요하다. 산업 종사자들 모두가 머리를 맞대 낙농 산업이 활력을 되찾아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