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경기도 용인시 84㎡의 아파트에서 사는 A씨는 지난달 관리비로 20여만 원을 청구받았다. 이전 10여만 원 수준이던 관리비가 두 배 가까이 오른 것이다. 
A씨는 “이번 고지서를 받아들고 깜짝 놀랐다”면서 “최근 고물가, 고금리로 어려운 상황에서 난방비마저 폭등해 부담이 크다”고 토로했다.
난방비 상승으로 전국이 몸살을 앓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따른 국제 에너지가격 급등과 한파 등이 맞물려 국민들의 난방비 부담이 증대됐다. 
지난 1월 난방비는 전년 동월 보다 도시가스 29.7%, 주택용 저압 전력 21.2%, 실내 등유 26.5% 등 평균 20% 이상 상승했다.
농촌지역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농촌가구의 96.2%는 개별 난방시설을 사용하고 있는데다, 등유, LPG, 전기, 화목 보일러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연료비에 대한 부담이 더 크다. 
실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농촌가구는 도시가구에 비해 월 평균 4.2만 원 가량 연료비 지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폭이 더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달 말 전북 고창군의 시골마을에서 태국인 부부가 냉골같은 방에서 숨진 채 발견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경찰에 따르면 가스통은 비어 있었고 가스보일러도 고장난 상태였다. 이들은 난방비를 아끼려고 방 안에서 장작을 때다 일산화탄소에 중독돼 숨진 것으로 추정됐다. 
농촌지역의 겨울나기는 도시보다 더 힘이 든다. 그러나 정부의 난방비 지원 정책은 도시가스 위주로 짜여있어 농촌지역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
정부는 농촌지역의 경로당, 마을회관 등에 난방비를 추가 지원하는 한편 LPG 소형 저장탱크 보급, 노후주택 난방 여건 개선, 친환경보일러 교체 등 에너지 복지 확대를 위해 노력한다고 밝혔으나 이것만으론 어림없다.
장기적으론 농촌지역에 적합한 저렴한 친환경에너지와 대체 에너지 개발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또 농촌지역 주거 개선사업과 연계해 별도의 냉난방 시설 없이도 적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패시브하우스’나 ‘에너지제로하우스’ 등의 사업도 추가 도입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