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혜진 기자] 낙농 현장을 돌아보면, 지금과같은 어려움은 없다고 입을 모은다. 
수십 년간 낙농업을 영위해온 사람들조차도 혀를 내두를 정도라는 게 현실이다. 이러한 현장 농가들을 더욱더 암울하게 하는 것은 앞으로 미래에 대한 기대보다 더 크게 다가오는 불안감이다. 
최근 한국낙농육우협회 정책연구소가 조사·발표한 설문에 따르면 FTA 하에서 향후 낙농 산업에 대한 전망은 97.4%가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특히 이 가운데 54.3%는 특히 어려울 것이라고 응답하면서, 흉흉한 현장 분위기를 실감케 했다. 
또, 농가들의 불안한 심리가 반영된 항목은 직업만족도였다. 직업으로서 낙농업에 대해 만족한다는 비율은 30.6%로 집계됐다. 
직전 연도인 2021년 조사결과에 비하면 22.6%가 감소한 수준으로 만족도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는 금전 문제를 최우선으로 꼽았으며 수입개방과 안티축산으로 인한 장래의 불투명함과 고된 노동이 뒤를 이었다.
낙농가 대부분은 상당한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장치산업인 낙농업의 특성상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투자재원의 마련을 위해서다. 
낙농업을 하기 위해서는 납유 권한인 쿼터를 보유해야 하고, 착유 시설 등 설비에 대한 투자를 계속해서 해야 한다. 
대부분이 수입 장비로 고가인 데다가 현장 분위기에 따라 천정부지로 치솟는 쿼터를 매입하기 위해서는 부채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
2022년 호당 평균 부채액은 5억 1200만 원이며, 이 중 2억 이상의 고액부채비율이 79.9%로 심각한 수준이다. 
현장농가들이 이러한 투자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폐업을 고민하는 이유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가장 크다. 낙농강대국들과 잇따른 FTA 영향으로 들어오는 수입 유제품 원료들과 외국산 유가공품들이 시장 점유를 높이면서 국내 시장은 지속해서 축소하고 있다. 
또, 최근 들어서는 식물성 대체 음료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일부 시장을 또 잠식하고 있다. 
시장환경변화와 더불어 제도개선에 따른 낙농 환경 변화가 농가들의 불안함을 더 가중하고 있다. 
올해부터 시행된 용도별 차등가격제도에 대해 현장농가들의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특히, 용도별차등가격제 도입 미시행 주체와 시행주체 소속 농가들의 형평성 논란과 시행 농가 가운데서도 집유주체별 상이한 총량 적용 방식 등의 문제로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현장 농가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용도별 차등 가격제를 받아들였지만, 이 상태로 유지된다면 조만간 폐업하는 농가들이 속출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쿼터거래를 통해 폐업 농가의 생산량이 다른 농가로 이전되기 때문에 전체 생산량이 줄어들지는 않겠지만, 산업 구성원이 줄어들수록 산업이 위축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아무리 옳은 목소리를 낸다하더라도 소수의 목소리가 힘을 발휘하기는 힘들다. 낙농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고 산업을 지키기 위해 구성원 모두의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