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장기 거래방식 개선 등
‘가격 투명화’ 내세웠지만
제대로 된 경매는 못 하고
형식적 온라인·수의매매만
예견된 문제 그대로 노출
보완 안 되면 외면 속 실패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계란가격 투명화 및 후장기 거래방식 개선을 위해 도입된 계란공판장이 1년째 터덕거리고 있다. 제대로 된 경매는커녕 형식적인 온라인 경매와 정가·수의 매매만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라 비난 여론이 높다.
농식품부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계란공판장을 도입, 지난 2021년 12월 20일 계란공판장 첫 거래를 개시했다. 일반 농산물이나 소·돼지와 같이 공판장을 통해 계란이 유통될 수 있는 새로운 유통채널을 구축한 것이다.
계란공판장은 산란계 농장이 온·오프라인을 통해 계란을 출하하면 다양한 구매자들이 참여해 입찰방식과 정가·수의매매 방식이다. 상장수수료는 2%, 온라인은 0.6%로, 월·수요일 개장일 역시 거래물량 추이에 따라 확대해나갈 예정이었다.
그러나 1년 여가 흐른 현재 계란공판장은 여전히 답보상태다. 계란공판장 수만 해밀 한곳에서 포천축협과 한국양계농협까지 3개소로 늘었을 뿐 ‘계란가격 투명화 및 불합리한 후장기 거래방식 개선’이란 목적 달성은커녕 사전에 예견됐던 문제점들만 그대로 노출되고 있다.
한 양계업계 관계자는 “공판장 3개소 모두 형식적인 온라인 경매만 일부 진행되고 있다”라면서 “이마저도 현물을 보지 못하고 농가가 올린 사진과 산란주령 등의 정보만 제공하는 형식”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금은 상장수수료를 정부에서 보조해주기 때문에 문제없이 운영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보조사업이 끝나면 불만이 터져 나올 것”이라며 “계란공판장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졸속 행정의 전형”이라고 꼬집었다.
문제는 뭘까. 복수의 전문가들은 그 이유로 ‘후장기’를 꼽았다. 후장기란 계란을 출하하고 월말에 결정된 가격으로 정산하는 방식으로, 통상 DC가 반영돼 고시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계란가격이 책정된다. 이 같은 후장기 거래가 성행하다 보니, 최종 가격이 결정되기 전까지 입찰이 이뤄지기 어렵다는 게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다른 양계업계 관계자도 이에 동조했다. 그는 “국내 계란시장은 후장기 거래가 정착돼있는 반면 계란공판장은 직장기 거래가 원칙”이라면서 “월말에 계란가격이 얼마나 떨어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누가 적자를 보고 계란을 사겠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때문에 현재 운영 중인 일부 계란공판장의 경우 지난달 후장기 가격을 이달 고시가에 적용하거나, 일정 물량을 나중에 정산하는 방법의 편법을 쓰고 있다”라며 “도출된 문제점들은 즉시 보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