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육우

송아지 생산 감소하겠지만

누적된 입식 마릿수 많아

도매가격 1만 8000원 내외

 

2022년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364만 4000마리로 2021년보다 3.0% 증가했으며, 이중 한우 마릿수는 348만 1000마리였다.

2023년에 도축 가능한 18개월 이상 수소 사육 마릿수는 59만 마리로 2022년 대비 7.3%, 평년 대비 16.6% 증가해 2023년 수소 도축 마릿수는 2022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18개월 이상 암소 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3.1% 증가했고, 2023년 한우 가격은 전년 대비 약세가 예상되어 2023년 암소 도축 마릿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2022년 한우고기(거세우) 평균 도매가격은 2만 980원/지육㎏으로 2021년보다 7.4% 하락했다. 이는 도축 마릿수가 늘어 한우 공급량이 증가했고,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수요가 위축되었기 때문이다.

2023년 한우 사육 마릿수는 정액 판매량 감소 등으로 송아지 생산 마릿수는 감소하겠으나, 누적된 입식 마릿수가 많아 2022년보다 0.6% 증가한 357만 4000마리로 전망된다. 사육 마릿수 증가로 도축 가능 개체 마릿수가 많아 2023년 국내 소고기 생산량은 2022년대비 7.7% 증가한 31만 톤으로 예측된다. 한우고기 공급량 증가로 2023년 한우고기(거세우) 도매가격은 2022년보다 하락한 1만 8000 원 내외 수준으로 전망되며, 2024년까지 약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젖소

마릿수 감소 원유 공급 줄어

관세율 인하 소비 다양화로

유제품 수입은 지속적 증가

 

2023년 원유 생산량은 사육 마릿수의 감소로 2022년 대비 1.7% 감소한 194만 5000톤으로 전망된다. 젖소 사육 마릿수가 전년 대비 3% 내외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평년 수준의 기상과 조사료 수급 여건을 가정할 경우 마리당 산유량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다만 원유생산량 전망치는 낙농 제도 개편에 따른 생산 여건이 반영되지 않았으므로 용도별 차등가격제 시행, 기상 및 사료 수급 여건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생산량 감소세는 2023년 이후에도 지속해 2032년 원유 생산량은 2022년 대비 6.4% 감소한 185만 톤으로 전망된다. 이는 영세한 소규모농가들의 폐업이 지속하고 대규모 농가를 중심으로 규모화와 전업화가 진행되면서 전체 사육 마릿수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국내 원유 생산량은 감소하는 반면, 유제품 수입량은 관세율 인하 및 무관세 할당량 증가, 소비자 선호 다양화 등의 영향으로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2023년 수입량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263만 6000톤으로 전망되며 이후에도 증가세가 지속해 2032년에는 283만 2000톤으로 전망된다.

 


 

한돈

국내 생산·수입량 모두 감소

이월 물량 많아 가격은 약세

 

올해 연평균 돼지 사육 마릿수는 2022년보다 0.3% 감소한 1117만 마리로 전망된다. 도축 마릿수는 전년 대비 0.3% 감소한 1848만 마리로 예상된다. 1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 대비 1.4% 증가하고, 2~5월 출하 가능 물량은 0.6% 감소, 6~9월은 일 평균 도축 마릿수는 감소하나 작업 일수 증가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예측된다. 10월 이후에는 사육 마릿수 감소, 작업일수 감소로 2.1%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보다 감소한 110만톤으로 내다봤다.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보다 0.9% 감소한 43만 8000톤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양이 수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도매가격은 재고를 포함한 공급량 증가로 2022년(5227원) 대비 소폭 하락한 5000~5200원/kg으로 예측했다. 이월재고량 증가에 따른 국내 공급량 증가가 원인으로 판단된다.

한편 PSY는 2020년 20.2마리에서 2021년 21.5마리로 늘었다. MSY는 2010년 14.3마리에서 2021년 18.9마리로 증가했다.

 


 

 

육계

생산량 감소 가격 소폭 상승

수입물량은 지난해보다 감소

 

올해 상반기 병아리 생산 잠재력 지수는 종계 입식마릿수 감소로 2022년 동기간보다 평균 1.2p 하락할 전망이다. 이에 육계 사육마릿수도 전년 대비 1.3% 감소한 9326만 마리 내외로 전망된다. 

따라서 2023년 닭고기 생산량은 전년 대비 1.2% 감소한 62만 2000톤 수준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같은 닭고기 생산 감소로 2023년 생체 kg당 평균 생계유통가격은 2022년 1843원 대비 소폭 상승한 1873원으로 점쳐진다.

2023년 수입량은 2022년 대비 18.1% 감소한 15만 4000톤으로 전망된다. 주요 수출국의 생산량 증가와 공급망 개선으로 수입 단가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물가안정을 위한 할당관세물량 도입으로 수입량이 크게 증가했던 2022년보다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수입 닭고기 kg당 수입단가는 브라질산 2.09달러, 미국산 1.46달러, EU산 2.15달러로 예상된다.

 


 

산란계

종계 입식 감소 6월 후 영향

산지 가격은 소폭 상승할 듯

 

2023년 3월 1일 기준 산란계 사육마릿수는 2022년 대비 1.3%, 평년 대비 1.0% 증가한 7136만 마리로 전망된다. 분기별 평균 산란계 사육마릿수는 2022년 종계 입식 감소로 전년 대비 감소한 7256만 마리 수준으로 전망된다.

계란 생산량은 6개월령 이상 사육마릿수가 늘어 2023년 3월 1일 기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0.1%, 0.2% 증가한 일 평균 4258만 개로 예상되지만, 이후에는 사육마릿수 감소로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평년 산란율을 적용할 때, 연 평균 계란 생산량은 1일 기준 4291만 개로 전년 4412만 개 대비 2.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 종계 입식감소가 2023년 하반기 6개월령 이상 사육마릿수 감소로 이어져 6월 이후부터는 공급감소가 우려된다. 2023년 계란 산지가격은 생산량 감소로 전년대비 소폭 상승한 1650원 내외로 예상된다.

 


 

오리

종오리 AI 피해 크게 감소

가격 상승…1만1000원 대

 

2023년 오리 사육마릿수는 HP AI 발생으로 종오리 및 육용오리 사육마릿수가 감소해 전년 대비 감소한 773만 마리로 전망된다.

육용오리 사육 마릿수는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8.6%, 10.4% 감소한 708만9000마리로 전망되면서 오리고기 생산량도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5.7%, 7.1% 감소한 10만6000톤으로 예상된다. 종오리 사육 마릿수는 2022년 하반기 이후 HPAI 발생 피해가 전년 동기 대비 크게 나타나 감소했다. 2022년 10월 17일부터 2023년 1월 12일까지 오리농장에서 33건의 HPAI 발생해 113만 마리의 종오리와 육용오리가 매몰 처분됐기 때문이다. 종오리 사육 마릿수는 지난해 12월 수입된 원종 오리가 2024년 상반기 이후 종오리 입식에 가담하면서 점차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오리 산지 가격은 사육 마릿수 감소로 2023년에는 전년 대비 상승한 1만1000원대로 전망되며 2027년에는 1만2000원, 2032년은 1만3000원으로 예측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