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한정희 기자] 국가는 국민이 필요로 하는 식량 공급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책임이 있다. 안보는 국방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질병·재해·재난·전쟁 등을 대비해 일정한 양의 식량을 확보·유지하는 식량안보도 중요하다. 주식이란 식사의 중심이 되는 음식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곡류를, 서양은 축산물이 주식이다. 우리나라의 축산물 소비량은 경제 발전과 함께 꾸준히 증가해 왔다. 이제는 국민 필요 주식 품목에서 축산물을 빼놓을 수 없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핵심과제 중 하나로 식량안보를 선정했다. 국내 생산량 확대를 통해 식량자급률을 높이고, 해외 공급망을 다변화하는 투트랙을 제시했다. 쌀 생산량은 줄이고 밀·콩·조사료·가루쌀 등 ‘전략 작물’ 생산을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민간기업의 수입선 다변화를 지원한다. 우리나라 기업이 현지에서 곡물을 보유하면 전염병 유행 등 급박한 상황 속에서도 곡물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란 판단에서다. 
이번 식량안보 강화방안 자료 어디에도 축산이란 글자는 없다. 물론 식량은 곡물로 한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지만, 시절이 바뀌었다. 축산물은 우리 식탁에서 주식의 자리를 굳건히 하고 있다. 식량안보를 이야기하면서 축산물을 포함시키지 않는 것은 구시대적 발상이다.
과거 대부분 국가는 농업이 주산업이기 때문에 식량부족 문제를 겪지 않았다. 그러나 주산업이 1차(농업)에서 2차(공업), 3차(서비스업)로 변화하면서 식량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감소했다. 그 결과 많은 국가에서 부족한 식량을 해외에서 조달하는 등 수입 의존도가 높아졌다. 
부족한 식량을 수입해 충당하는데 평소에는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2007년 국제 곡물가격이 전 세계적으로 급등하는 애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일부 국가는 식량부족으로 인해 폭동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후 국가들은 식량안보를 지키기 위해 식량 공급 능력을 적정하게 유지하고 수입경로를 다변화하는 등 관련 정책을 강화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 코로나19, 전쟁 등에 따라 공급 불안 요인이 심화되면서 식량안보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재차 고조됐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주요 국가간 정치·경제 갈등이 심화되고 있어, 식량안보 문제는 향후 큰 위험이 될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 코로나19가 세계로 확산하자 아프리카 대륙에 위치한 대부분의 국가들이 식량안보의 위험에 노출됐다. 
우리나라의 경우 쌀은 공급이 수요를 충분히 감당하고 있지만, 밀, 콩, 옥수수 등의 나머지 주요 곡물들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식량자급률이 50%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식량안보가 취약한 국가 중 하나인 상황이다. 
선진국일수록 식량안보 태세가 굳건하다. 우리나라의 세계 식량안보 지수 순위(총점)는 32위(2021년 기준)에 머물러 있다. 상위 순위를 살펴보면 1위 아일랜드(84점) 2위 오스트리아(81.3점) 3위 영국(81점) 4위 핀란드(80.9점) 5위 스위스(80.4점) 6위 네덜란드(79.9점) 7위 캐나다(79.8점) 8위 일본(79.3점) 9위 프랑스(79.1점) 순이다. 2021년 7월 대한민국은 선진국으로 공식 인정됐다. 유엔무역개발회(UNCTAD) 설립 이후 개도국에서 선진국이 된 최초의 국가가 됐다. 그러나 식량안보는 개도국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시대가 바뀐 것과 같이, 정부 정책도 함께 변화해야 한다. 정부는 현재 축산업이 식량안보 필수산업이며 농촌경제를 이끄는 버팀목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