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연, 작년 소비행태 조사
코로나19 발생 이후 가속화
‘물가’가 구매 행동 크게 좌우
건강·윤리·가치 소비 늘어나
산업과 시장 주목할 과제로

 

[축산경제신문 이혜진 기자] 지난 10년간 식품 소비 패턴이 명확하게 변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가정에서 조리해서 식사하는 것보다 온라인 등에서 구매한 간편식에 대한 소비 증가, 또 외식 문화의 발달 등으로 변화한 가운데 코로나 19 발생 이후 가속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 9일 서울 양재동 소재 aT센터에서 발표한 2022 식품 소비행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0년 우리나라 가구는 집에서의 식사 및 조리를 지속해서 줄여왔으며, 식품 주 구입장소로서 ‘온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동기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양상은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된 가운데 2022년에도 지속한 것으로 풀이됐다. 
농견연은 2022년은 ‘물가’가 식품 소비 및 구매 행동에 크게 영향을 준 해였으며, 우리나라 가구들은 다른 여러 소비 군보다 식품 물가가 가장 크게 상승했다고 평가했다. 
농경연 이계임 박사 연구팀의 조사결과, 주구입자와 가구원이 먹는 음식 대부분을 직접 만들어 먹는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이 10년 전인 2013년 89.7%였던 것이 비해, 2022년에는 63.2%로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박사는 이 같은 추세는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서 발표하는 가구의 식품비·외식비 지출에서도 확인되며,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가 확대되면서 집에서 직접 음식을 조리하기보다는 외식 또는 간편식 등으로 식사를 해결하는 가구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판단했다. 
식품 주 구입장소로서 ‘온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동기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으로 한 달에 1회 이상 식료품을 구매한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2013년 8.2%에 불과했는데, 올해(2022년)는 무려 56.3%로 크게 늘었다. ‘식료품을 주로 구매하는 장소=온라인 채널’이라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이 2013년에는 0.1% 수준으로 아주 미미했는데, 10년이 지난 2022년에는 약 4% 수준(가공식품 기준으로는 7% 수준)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는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식료품이 전체 식료품 판매의 20% 수준까지 도달했다는 통계청 온라인쇼핑 동향조사 결과와도 방향성을 같이 하는 결과라고 밝혔다. 
연구원은 간편성과 편리성을 지향하는 가구의 식품 소비 트렌드가 꾸준히 이어져 온 데다가 코로나19 발생 이후 비대면·언택트 소비행태가 가속화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2022년도에 온라인에서 식료품을 구매할 때는 ‘가격’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고려한다는 가구 비중이 35.4%를 차지해 2020년 22.7%보다 매우 증가했는데, 이는 올해가 식품 물가 이슈가 확대된 해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향후 주목해야 할 식품 소비 트렌드로는 간편·편리성 지향, 건강 지향, 윤리적·가치 소비 지향 등을 꼽았다.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가구는 편의점에서의 소비를 크게 늘렸고, 온라인 주문, 당일배송 및 정기배송에 대한 선호가 높아져 왔다. 또한, 가정간편식(밀키트), 세척·절단된 채소(샐러드) 및 과일에 대한 구매를 크게 늘렸으며, 과일 등을 소포장 형태로 사는 가구 비중도 빠르게 확대됐다. 이처럼 간편·편리성을 지향하는 식품 소비 트렌드는 지난 10년을 대표하는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앞으로도 지속할 추세로서 산업과 시장이 주목해야 하는 핵심 변화라고 밝혔다.
윤리적·가치 소비 트렌드 또한 지속해서 확대될 전망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대한 국민 인식이 확대되고 있으며, ESG 경영 우수기업(부정적 기업)에 대한 구매(불매) 운동에 대한 의향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하지만 음식물쓰레기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농식품을 구매한다는 가구의 비중도 정체 내지는 소폭 감소 추세를 보여, 우리나라 가구의 실제 행동은 아직은 미흡하다는 판단이다. 이에 연구진은 이처럼 현재 인식과 행동이 다소간의 차이를 보이는 상황이기는 하지만, 윤리적·가치 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더욱 강화될 것이고 행동·실천 또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농식품 생산자 및 관련 기업들에 대해 소비자와 사회 전체의 요구는 확대될 것이기 때문에, 농식품 산업 및 식품 정책 차원에서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