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혜진 기자] 내년도 한우 수급 상황에 비상이 걸렸다. 올해 추석 이후 한우 도매가격이 하락국면을 맞이한 가운데 내년도에는 출하 물량 증가에 따른 극심한 수급불균형이 우려되면서 한우농가들이 저마다 울상이다. 
한우와 관련된 회의마다 수급 관련 동향이 보고되고 있는데, 어디에서 내놓든 전망은 모두 비관적이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19 여파에 따른 인위적인 경기 부양책의 소멸과 코로나 일상화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둔화 등으로 내년에는 더욱더 극심한 불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생산단계에서부터 유통, 정부에 이르기까지 하나같이 모두 내년과 내후년 한우 산업에 대한 부정적 신호에 대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다. 무엇보다 내년도에 펼쳐갈 사업이 중요한 시점이다. 
한우협회는 암소 감축 사업을 지속 전개하는 한편, 분산출하 장려 등으로 가격이 지지될 수 있도록 전방위 활동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또 한우자조금은 수급조절사업, 소비 홍보사업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면서 수급 안정화를 도모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정부는 가격 폭락 상황에 대비해 소비지원금 확보 등이 필요하다는 견해다. 
이 같은 맥락에서 한우자조금 예산을 대폭 한우 소비촉진 사업에 쓸 것을 권고했다. 100억 원 규모로 소비촉진 예산을 편성해, 정부 소비 쿠폰과 함께 소비 활성화를 도모하자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한우자조금 관리위원들과 대의원들은 정부의 이러한 권고에 반발했다. 산업 안정화를 위한 곳에 자금을 몰아 쓰라는데 왜 반대한 것일까. 이는 절차와 방법이 달랐기 때문이다. 이미 몇 달간의 논의를 거쳐 마련한 사업계획안에 칼질하고 한순간에 뒤집으라니…?. 이러한 반응들이 대부분이었다. 충분히 논의과정에서의 의견 개진도 가능했을 상황을 모두 넘기고 사업계획이 확정된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새로운 예산안을 내민 것에 대한 불쾌감이다. 
산업을 위해 예산을 쓰자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그 방법이 틀렸다는 것이다. 
또 자조금 사업에 이미 수급조절을 위한 소비 홍보 예산이 100억 원가량 편성된 가운데 정부가 요구하는 사업 추진을 위해 자금을 새로이 배정하는 것에 대한 반발이다. 
이러한 이유로 지난 9일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는 기존예산안을 확정하고 심의 의결했고, 지난달 29일 대의원회에서도 원안 의결로 심의를 마쳤다. 이제 남은 것은 농식품부의 사업계획 및 예산 승인이다.
하지만 농식품부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예산안이 승인될 가능성은 아주 낮다. 부분 승인을 하거나 일부 수정을 거쳐야만 승인될 가능성이 크다. 진작 소통했더라면 이런 부수적인 소모 없이 사업 승인이 가능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정황근 장관은 취임 일성으로 ‘소통’을 강조했다. 취임 직후 가진 농업인 단체장들과 소통간담회에서도 역시 소통을 강조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만남을 가지며 현안에 대해 함께 고민하며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소통하려는 마음을 갖기로 했다면 상대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공감과 이해가 밑바탕이 되어야 진정한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방적으로 생산자단체의 요구를 청취했다고 해서 소통했다고 오해해서는 안 된다. 잘못된 방식으로 소통하는 것은 오히려 오해만 쌓이기 마련이다. 
내년을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 한우산업의 전망이 달라질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다. 산업의 안정화를 위해 제대로 된 방법의 소통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