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의 총 파업 장기화로 물류에 차질이 빚어지며 시멘트와 석유, 자동차, 철강 등 산업계 곳곳에서 신음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시멘트 업계의 하루 손실은 180억여 원, 석유화학 업계의 일일 피해액은 약 680억 원에 달한다. 자동차 업계는 인건비·운영비 추가 부담이 하루에 5억 원이 넘고, 철강업계의 피해는 지난 29일 현재 80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화물연대 총 파업의 불똥은 축산업계로도 튀었다. 축산농가들은 사료공급 및 생축운송 지연으로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사료업계도 광양항, 부산항 등에서 컨테이너 원료 수급에 애로를 겪고 있다. 배합사료는 원료의 대부분을 해외수입에 의존하는 까닭에 사료공장의 원료 확보기간이 2~3일밖에 되지 않는데, 사전 재고가 조만간 모두 소진될 것으로 예상돼 공장 가동이 멈출 위기다.
가금업계도 심각한 상황이다. 계약농가들은 닭을 출하하지 못해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으며, 계열업체는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용차 임대 등으로 운영비 추가 부담이 커지고 있다. 프랜차이즈와 중소식품업체들도 닭고기를 제때 공급받지 못하고 있어 피해 규모는 앞으로 더 불어날 전망이다.
게다가 경북 상주 올품공장 앞에는 화물연대의 시위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화물연대 조합원들은 최근 올품 소속 운전기사들이 화물연대 대거 탈퇴를 두고 “사측의 개입이 있던게 아니냐”는 해명을 촉구하고 있고, 올품 측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며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화물연대가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품목 확대’를 명분으로 지난 6월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파업에 돌입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화물연대 종사자들의 생존권 사수를 위한 단체행동도 충분히 공감하고 이해한다.
하지만 파업 미참여 비조합원들에 대한 업무 방해와 훼방은 명백한 범죄 행위로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 또한 살아있는 가축을 볼모로 하는 것은 어떠한 명분으로도 절대 지지받을 수 없다.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등으로 모두가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와 화물연대의 싸움에 더 이상 축산업계의 등이 터지지 않길 바란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