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혜진 기자] 2014년 영남우유 폐업에 이어 2022년 푸르밀이 폐업한다. 
푸르밀이 내달 30일 영업종료를 선언하고 납유농가의 원유는 올해 연말까지 집유한다고 밝혔다. 푸르밀 소속 낙농가들은 연말을 기점으로 납유처를 잃게 된다. 근래에 들어서 유업체가 폐업하면서 낙농가들이 납유처를 잃게 되는 건 영남우유에 이어 푸르밀이 두 번째다. 
10년도 채 지나지 않아 악몽이 되살아났다. 이번에는 영남우유 사태 때보다 그 파장이 더 심각하다. 
납유 농가 규모나 푸르밀의 사업규모가 영남우유와는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낙농진흥회도 이번에는 직격탄을 맞았다. 낙농진흥회의 원유를 푸르밀이 구매해 왔었는데 구매선이 끊기면서 새로운 수요처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이번에도 상황은 비슷하게 흘러가고 있다. 푸르밀 농가들은 푸르밀에 보상을 요구하는 한편, 부당함을 호소하고 있지만, 집유가 중단되는 연내에 해결책을 찾지 못하면 1월 1일부터 생산되는 원유는 갈 곳을 잃게 된다. 그나마 일반 유업이 아닌 낙농진흥회가 이들을 구제해 주길 바라는 눈치이지만 예나 지금이나 불가능한 상황이다. 공식적으로 거래되고 있는 쿼터를 매입한 농가들의 납유는 가능하지만, 납유 권한(공쿼터)만 부여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낙농진흥회도 생산량이 늘고 있는 가운데 판매 부진으로 유업체들의 계약물량은 지속해서 줄어들고 있어 상황이 녹록지 않다. 
납유처를 찾지 못하면 머지않아 농가도 폐업의 길로 접어들 수밖에 없다. 40년간 납유한 권리가 한순간에 한낱 휴짓조각으로 바뀌는 순간을 맞이해야 한다.
50년간 명맥을 이어왔던 영남우유는 2014년 폐업을 결정하면서 5월말 기준으로 집유를 중단했다. 
당시 영남우유 납유 농가는 7곳 남짓. 이들은 새로운 납유처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했고, 해당 지자체에서도 발벗고 나서 이들을 구제해줄 것을 호소하고 나섰다. 그러나 당시 원유가 넘처나던 상황에 집유주체들이 원유 감산 정책을 시행하던 탓에, 이들을 받아줄 곳이 마땅치 않았다. 당시에도 진흥회가 이들을 흡수하는 것을 검토해줄 것을 지자체가 요청했지만, 원칙적인 방법 외에 예외규정을 적용할 수는 없었다. 
이에 일부 농가는 폐업을 결정했고 일부 농가는 쿼터를 매입해 새로운 집유주체를 통해 원유를 납유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었다. 
낙농업계에서는 영남우유 사태 때, 재발하지 않도록 정부 차원에서의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지만 십년이 다되도록 아무런 대책이 뒷따르지 않았다. 이번에는 푸르밀 농가들과 함께 푸르밀 노조도 부당폐업에 나서면서 이슈가 되자, 국감에서 농식품부 장관이 농가 구제방안을 찾아보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장관이 내놓은 방안은 내년도 시행예정인 용도별 차등가격제에 시범 사례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인데, 농가에서 생산된 전량을 생산비 수준의 원유가격만 받고 납유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 일반 유업으로 납유를 원하는 농가들에게는 연결을 돕겠다고 했는데 이마저도 현실성이 없다. 쿼터 매입 대금을 보조해 주지 않는 한, 성사될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이다. 
생산 농가들이 원하는 것은 현실성 없는 땜질식 대책이 아니라 근본적인 해결방안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다. 이런 상황은 비단 푸르밀 농가들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다. 수년째 낙농 상황이 좋지 못하자 경쟁력이 약한 군소 유업체들은 계속해서 휘청대고 있다. 제3, 4의 사태를 우려하지 않을수 없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