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류와 유제품 생산에는 사료 공급, 분뇨 처리, 기후변화라는 세 가지 큰 환경 문제가 있다. 

수백만 에이커가 가축을 먹이기 위한 대규모 단일작물 경작지로 경작되었으며 자연 서식지를 농경지로 전환하면 탄소 오염이 발생하여 기후변화에 이바지한다. 

일반적으로 경작지는 화학 물질로 처리되고 식물이 사용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의 비료를 뿌리고 식물이 사용 후 남은 나머지는 모두 주변 수로로 흘러간다. 농경지에 살포되지 않는 분뇨는 홍수 또는 누출로 외부 수질에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것은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박테리아, 살충제 및 중금속과 같은 유해 물질을 주변 환경으로 방출한 적도 있다. 

분뇨가 분해되면서 메탄, 암모니아 및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배출물이 방출되어 기후변화에 더욱 이바지한다. 무엇보다 가축은 소화 과정에서 메탄(트림)을 배출하고 가축의 가공 및 운송 과정에서 추가 배출이 발생한다.

육류 및 유제품 산업의 전체 공급망은 기후변화와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 문제에 이바지한다.

국내 경제일간지에 2건의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이것은 우리 축산업계에 시사하는 점이 많다. 

첫 번째 기사는 뉴질랜드가 2025년부터 세계 최초로 가축의 트림 등 농축산업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에도 비용을 부과하기로 했다는 기사다. 

블룸버그통신은 10월 11일 뉴질랜드 정부와 농축산업 단체 등이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공동 구성한 ‘헤 와카 에카 노아(He Waka Eke Noa, 우리 모두 함께 있다는 마오리족 속담) 일차산업 기후변화 대응 파트너십’의 제안을 수용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뉴질랜드 농축산업 농가는 2025년부터는 소와 양의 트림에서 발생하는 메탄 등 온실가스에 대해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고 한다. 

뉴질랜드 정부는 이 제도를 통해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2017년 수준보다 10% 감축한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계 최대 낙농 수출국인 뉴질랜드는 농축산업이 국가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 산업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국가 전체 배출량의 절반 수준이나 되며 특히 되새김질하는 소나 양은 트림을 통해 대량의 메탄가스를 배출하는데 이는 이산화탄소의 수십 배에 달하는 ‘최악의 온실가스’로 꼽히며 뉴질랜드 정부 관계자는 “이 제도에는 농축산업 온실가스 저감을 돕는 기술 등 연구개발에 필요한 자금 마련을 위해 부과되는 추가 부담금과 공인된 온실가스 저감기술의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성과보수도 포함된다”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기사는 국내 기사다. 이상기후 영향으로 국내에서 사과와 고랭지 배추 산업이 사라질 위기라는 기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의원(김제·부안)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현재 작물 재배 가능 면적 기준 401만ha에 달하는 사과는 오는 2090년 1만8000ha로 줄어들어 재배 가능 면적이 현재 대비 0.5%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랭지 배추는 132만9000ha에서 4000ha로 0.3%로 감소하며, 인삼은 713만2000ha에서 44만7000ha로 6%에 불과하고 현재 생산성 100%인 벼의 경우 48%로 절반 이상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농촌진흥청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아열대기후 지역 확대로 일부 작목에 대한 재배 적지는 급감하고, 남해안 중심으로 아열대작목 재배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한반도 기후가 1.5 ℃ 상승하는 2040년에 사과는 70%, 고랭지 배추는 94% 이상 재배 적지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벼의 경우 2060년대 평야지 대부분에서 20% 이상 불임이 전망돼 경작 차례 및 신품종 육성 보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기후변화 대응 분야 기술 수준은 주요 선진국 대비 최하 수준으로 미국을 기준 100으로 봤을 때, 독일은 99.6%, 일본 97.5%, 네덜란드 95%, 한국 83.3%, 중국 71% 수준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대응기술 격차는 미국을 기준 0.0 년으로 봤을 때, 일본 0.8 년, 네덜란드 1.0 년, 독일 0.2 년, 한국 3.0 년, 중국 4.7 년 등의 기술격차가 있다고 한다. 

위 두 개의 기사를 보고 우리 축산업계는 무엇을 느껴야 할까?

  • 우리 축산업계는 지금 우리가 뭘 할 수 있지?
  • 우리 축산업계는 무엇을 해야 되지?
  • 그럼 누가 해야되지? 

소비자 특히 MZ 세대들은 환경문제에 특히 민감하다. 이러한 질문에 우리 스스로 답을 내리고 대응하도록 해야한다. 단기적 대응과제, 중장기적인 대응과제, 분야별 대응과제, 업무추진의 주체 등등 이루말할 수 없는 많은 현안을 어느 한 주체가 해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위해 해야할 많은 일들을 정리하고 우선순위를 정하고 각각의 주체별로 역할분담을 하고 컨트롤 타워를 만들고 실행계획을 만들고 PDCA 사이클에 따라 추진해야될 것이다.

언론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 지도자의 역할도 중요하다. 각각의 주체가 변화와 혁신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다음호에 이어집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