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국열 기자] 정부 발표는 신중해야 한다. 안전성이 불분명할 경우엔 더욱 그렇다. 
최근 식약처가 발표한 ‘식의약 규제혁신 100대 과제’에 배양단백질이 미래 식품의 원료에 포함되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신기술 적용 식품의 시장진입 지원을 목적으로 배양단백질을 식품원료로 지정했다. 배양단백질 개발·육성을 공식 천명한 것이다. 
배양단백질이 새로운 식문화인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다만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식품원료로 인정하기까지 최대한 보수적인 기준을 둬야 한다. 또 충분한 유예기간을 적용하지 않으면 그에 따른 적지 않은 부작용을 낳는다. 그런 점에서 배양단백질이 ‘안전’을 담보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배양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첨가물들이 인체에 끼칠 영향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고기와 비슷한 질감과 맛, 식감 등을 구현하려면 다양한 종류의 배양액, 항생제, 첨가제 등은 필수다. 특히 대량 생산과정에서 미생물 오염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항생제는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또 항생제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처할 수 있는 기준이 없다. 시장에 유통될 때도 기존의 식품들처럼 엄격한 기준으로 성분을 표시해야 하는데, 배양단백질 생산업체들이 생산과정에서 첨가하는 온갖 화학약품들을 소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것인지 확신이 안 선다.  
여러 전문가들도 배양단백질의 안전성을 경고하고 있다. 배양단백질에 함유된 첨가물들이 인체 내에 들어왔을 때 알러지 및 세포 독성을 유발할 수 있는 불확실성이 해결되지 않았고, 항생제가 신체 내 면역체계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한다.  
한 조사에 따르면 현재 국내 스타트업들이 생산하는 배양단백질 1kg 가격이 내년에는 10만 원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고 한다. 2040년에는 배양단백질이 세계 육류시장의 35%를 점유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관건은 현재까지 배양단백질 안전성이 확실하게 검증되지 않았다는 거다. 식약처 발표에 앞서 배양단백질에 대한 안전성이 공론화되지 않았고, 사회적 합의 역시 이뤄지지 않았다. 먹거리는 안전이 기본이다. 아무리 배양단백질을 신기술이라고 포장해도 안전성이 불분명하면 환영받을 수 없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