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양계산물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30일 현재 닭고기는 대닭 기준 kg당 1600원으로 생산원가 이하의 가격이 이어지고 있다. 계란도 추석을 앞둔 터라 인상 가능성이 점쳐지지만 생산량 증가에 따라 물량이 많아졌다는게 전반적인 시각이다. 
현재 사료비 급등으로 생산비가 올라간 상황인 만큼 수급조절 등 특단의 조치가 없다면 양계업계의 어려움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져 농가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이런 양계농가들을 더욱 화나게 하는 건 주무 부처인 농식품부의 자세다. 농가 지원을 위한 정책을 내놓긴 커녕 축산물 수입으로 밥상물가를 잡겠다고 밝혀 공분을 사고 있다. 
정부는 고병원성 AI 발생에 따른 살처분 후유증으로 계란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갔을 때에도 물가안정이란 명목 하에 무관세 수입 카드를 꺼내 들었다. 계란 수입 대신 산업 정상화를 위해 병아리나 중추 입식비를 지원해달라는 산란계농가들의 간곡한 요청은 외면한 채 말이다.
지난 늦봄, 대형마트와의 간담회 자리에서도 정부는 물가안정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과정에서 계란가격 인하를 요청했다. 이에 거래관계상 을에 해당되는 계란유통업체들은 산지시세 인상분을 납품가에 반영시키지 못해 적자를 떠안아야 했다.
이는 농식품부의 모든 정책이 생산이나 유통이 아닌 소비자를 향해 있다는 단적인 예다. 
어느 나라 정부나 민생안정이 최우선 과제지만 그 안정을 위해 누군가의 희생을 요구하거나 강요해선 안된다. 특히 그 대상이 농가여서는 더더욱 안된다.
지금 양계농가의 대부분이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고 농신보 대출도 한도가 차서 더 이상 대출도 받을 수 없는 농가가 많다. 농가의 폐업은 곧 가금산물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농가가 살아야 소비자도 안정적으로 싱싱한 계란을 저렴하게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밥상물가 잡기에서 손을 떼고, 이제는 본연의 업무인 축산인 경영안정, 축산업 경쟁력 향상과 관련 산업 육성, 농축산물 유통에 관한 사항 등에 충실하길 바란다.
농식품부의 존재의 이유는 ‘민생’이 아닌 ‘농생’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