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규 한국축산물위생처리협회장

 
“도축장에도 위생수준 향상을 위한 구조조정과 이를 위한 정부 지원이 시급합니다”
김명규 축산물위생처리협회장은 도축산업은 축산업의 연장이 아닌 기간산업으로 인식돼 정부 지원 정책에서 철저히 외면 받아왔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우리가 주장하는 것은 단순한 자금 지원이 아니다”라면서 “체질 개선을 위한 정부의 관심과 노력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전국의 도축장 현황과 실태는 어떠한가.

▲현재 96개의 도축장이 있고 100% HACCP 인증 작업장이다. 현재 가동중인 80여개 도축장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휴업중인 곳이 대부분이다.
도축장의 경영난은 2003년 정부의 도축장 HACCP 적용 의무화로 투자시설과 운용비용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HACCP 의무화 방침으로 도축장 구조조정이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예상은 빗나갔다. 허리띠를 졸라매면서도 HACCP 설비를 갖춘 것이다.

―한미 FTA 협상 체결에 따른 도축업계의 영향을 어떻게 예상하나.

▲2003년 한칠레 FTA 체결 이후 돼지도축두수가 연간 100만두씩 줄어들었다. 도축두수가 줄어들다보니 도축비 덤핑 등 제살 깍아먹기식 경쟁이 심화됐다. 한․미 FTA가 체결될 경우 이같은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다. 식품 위생에 대한 소비자 요구는 더욱 높아지고 있지만 치열한 경쟁은 위생 시설과 설비에 대한 투자를 소홀하게 만들 것이다.
소비자 신뢰를 잃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이다.

―도축업계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면.

▲덴마크의 경우 연간 2300만두의 출하 돼지를 14개 도축장에서 작업하고 있다. 반면 우리는 1300만두를 80개 작업장에서 도축한다. 도축장은 반드시 20개 이하로 구조조정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축산업이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먹거리 산업의 연장선상이라는 의식 전환이다. 도축업계는 한우, 양돈 자조금과 마찬가지로 자체 기금을 조성할 의사도 있다. 한우와 돼지 도축시 두당 2만원ㆍ400원을 자체 자금으로 적립할 경우 정부 보조금을 합쳐 5년간 한시적으로 운영해도 구조조정 자금은 충분히 마련할 수 있다. 우리산업도 한·미 FTA를 마냥 두려워 할 수는 없다. 철저한 대비만 가능하다면 우리 산업도 얼마든지 경쟁력을 갖추고 살아남을 수 있다. 옥미영 기자 omy@chukkyung.co.kr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