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섭 한국오리협회장

 
- 국내 오리산업이 최근 비약적 발전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축산업계에서는 이제는 5대 축종이라고 이야기될 정도인데요. 오리산업의 성장비결은 무엇인가요.

▲2003년도의 AI와 2004년 겨울의 폭설 피해로 어려움을 겪은 오리업계는 재기의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은 결과 오리사육 농가가 전년보다 5%가 증가한 8천9백 농가에 이르고 사육마리수도 840만 마리로 증가했다. 축산업의 생산액이 10조원정도로 그중 오리산물의 비중은 약 5%인 5천억 원대로 추산된다. 10년 전 보다 20배나 성장한 수치다. 오리산업의 비약적 발전은 협회를 중심으로 상업용종오리를 유전능력이 검증된 PS종오리로 대체하는 등 자구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은 결과다. 또한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오리생산을 위해 각종 기능성오리를 개발하고 오리진흙구이, 오리훈제, 오리햄, 오리로스, 오리소세지 등 새로운 가공법 개발에 힘을 기울인 결과다.

- 한미 FTA가 가져올 오리분야의 피해에 대해 말씀해 주시죠.

▲현재 오리의 관세는 18%인데 타농산물에 비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지만 중국, 일본, 미국에서 오리고기를 수입할 때 큰 방패막이가 되고 있다. 한미FTA가 타결돼 관세 제로세율이 된다면 당장의 피해뿐만 아니라 앞으로 전개될 다른 나라와의 무역협상에서도 제로세율을 요구할 것이 분명하다. 또한 우리는 현재 종오리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지만 2~3년 내에 우리 오리 업계도 오리GPS사업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 안정적인 종오리 수급체계가 완결되기까지 전면 수입개방은 막아야 국내 오리 산업의 희망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으면 오리GPS사업은 고사하고 육용오리도 외국에 의존하게 돼 결국 오리산업은 사라지고 말 것이다. 우리는 한미FTA가 다른 국가와의 협상에 빌미로 작용하지 않을까 주시하고 있다.

- 오리 산업의 성장에 걸 맞는 정책 지원과 배려도 필요하리라 보는데요.

▲사실 오리 업계는 AI발병 당시를 빼고는 정부의 지원을 받은 적이 없다. 현재도 △오리업계는 표준축사가 없어 축사시설과 관련된 각종 지원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오리 간염바이러스는 오리에겐 AI에 버금가는 무서운 질병으로 제1종전염병으로 분류해 주어야 한다. 이외에도 이제는 양계산업과 마찬가지로 △GPS사업 실시로 안정적이 종오리 수급 체계를 갖춰야 하고 △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D/B사업)사업 실시로 정확한 정책 수립을 위한 통계 시스템도 구축해야한다. △8월 이후 시작되는 오리 비수기를 대비한 소비홍보를 위한 지원 등도 상시 필요하다. 이 중 몇몇 사업은 가금수급안정기금으로 시행을 하려하고 있지만 앞으로 폐지된다하니 정부는 상응하는 정책자금을 마련하여 오리업계가 자립을 위해 열망하는 사업들이 실행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할 것이다. 다른 축종에서는 자조금사업도 실시하고 있으나, 우리오리업계는 여건의 미성숙으로 아직까지는 못하고 있다. 자조금사업이 실시될 때까지 만이라도 가금수급안정기금에 준하는 자금마련과 오리산업의 자립을 위한 정부의 배려가 시급한 시기다.
김재민 기자 jmkim@chukkyung.co.kr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