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양계협회가 또다시 술렁이고 있다. 종계분과위원회가 독립해 육용종계부화협회를 설립한데 이어 이번엔 채란분과위원회가 ‘대한산란계협회’라는 새로운 조직을 결성했기 때문이다. 
산란계협회 추진위는 지난달 20일 발대식을 개최한데 이어 8월 중 발기인대회와 창립총회를 갖고 농식품부에 정식 인가를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추진위는 그간 양계협회가 채란업계의 여러 규제와 정책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고 지적하며, 산란계 업무의 전문화를 위해 단체를 조직했다고 설명했다.
산란계협회 독립의 움직임은 과거에도 있었다. 전 양계협회장 재임 당시에도 물밑 작업이 있었고, 산란계산업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산사모’가 생긴 적도 있다.
하지만 이같은 유사단체 출범 때마다 기대보단 우려의 목소리가 더 크다. 이미 양계협회가 존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사단체가 설립될 경우 대표성 상실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다.
또 산란계협회는 현 양계협회 부회장과 지회장, 지부장 등 채란분과위를 이끄는 주요 임원이 주축이다. 산란계농가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산업 발전과 권익 보호가 목적인 만큼 양계협회의 성격과도 유사해 업무가 중첩될 가능성도 크다. 호기롭게 출범한 조직이 얼마 안 돼 몰락한다면 농가와 업계의 분란만 조장할 수 있다.
방과하지 말아야 할 점은 한 업계에서 자칫 두 개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산업 발전을 위해 발맞춰 걸어야 할 양계협회와 산란계협회가 엇박자를 내면 업계의 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현재 채란업계에 풀어야 할 숙제가 산더미다. 고곡가로 인한 사료값 급등과 외국인력 부족에 따른 인건비 상승, 계란이력제, 식용란선별포장제 등 현안이 산적해있다. 업계의 어려움 타개를 위해 똘똘 뭉쳐도 모자랄 판에 협회가 이원화되서는 안 된다는 질타가 쏟아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이를 뒤집어 ‘왜 어려운 시기에 이같은 유사단체가 생겨났을까’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이는 산란계농가들의 가려운 곳을 제대로 긁어주지 못했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자중과 반성도 필요하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