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금수급안정사업 중단되면 큰 타격

 
“가금수급안정 사업 폐지는 시기상조입니다. 일각에서 주장하고 있는 자조금 사업과 수급조절사업의 중복은 시장이 성숙하지 못하고 농가수나 사육규모도 정확하게 파악되지 못한 오리업계에게는 무리입니다.”
인터뷰에 응한 김만섭 오리협회장의 얼굴에는 근심이 가득했다. 이제 산업이 자리를 잡아가려는 시기에 오리산업의 버팀목이나 다름없는 가금수급안정사업이 올해를 끝으로 폐지된다면 협회 차원에서 추진 중인 여러 사업들이 중단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2003년 하반기 양계 수급안정 사업에 오리를 포함시키면서 오리산업도 정부의 덕을 보기 시작했다고 김 회장은 운을 떼었다.
예상이나 한 듯이 충북 음성에서는 AI가 발병했고 오리고기소비는 끝없이 추락했다. 3개월여 만에 닭고기 소비가 제자리를 찾은 반면 오리고기는 6개월이나 걸려 AI 발병 전 수준으로 소비가 회복될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그나마도 가금수급안정위원회가 발병 후 수차례에 걸쳐 실시한 소비촉진 캠페인과 TV자막광고 라디오 광고 때문이었고 생산비 이하로 폭락한 오리가격 안정을 위해 2004년 실시한 수급조절사업 때문이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 회장은 “가금수급안정 사업이 중단된다면 오리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사업들이 지연 또는 중단될 수밖에 없다”며 “수급안정사업 중단은 제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수급안정을 위해서는 양계산업과 같은 종자오리에 대해서도 DB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며 가금수급안정 사업으로 추진을 계획하고 있는 상황에서 농림부의 수급안정 사업 중단은 산업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와 마찬가지라고 성토했다.
김 회장은 “2008년부터는 오리도 임의자조금사업을 시작하여 빠른 시일 내에 의무자조금으로 정착시켜 나갈 방침”이라며 “그때까지 만이라도 가금수급안정사업을 지속시켜 줄 것을 농림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재민 기자 jmkim@chukkyung.co.kr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