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국열 기자] 축산스마트팜의 중요성이 갈수록 높아지는 지금,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담조직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금의 현실은 참으로 암담한 실정이다.
농식품부 농산업정책과에서 스마트팜을 총괄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축산스마트팜을 담당하는 인원은 달랑 1명뿐이다. 그것도 전담업무가 아닌 겸직이다. 스마트팜 지원사업은 형평성과 무관하게 시설원예 분야로 집중되면서 축산 쪽은 있으나마나다.    
축산스마트팜 전문가들이 “주무부처인 농식품부가 축산스마트팜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축산스마트팜을 전담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를 마련하는데 농식품부가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국내 축산업에서 축산스마트팜은 중요도에 비해 아직까지 불모지나 다름없다.  
축산선진국 대비 기술수준이 부족하고 신생기업의 기술완성도가 낮다. 축산농가들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 돼야 하는데 오히려 피해 보는 사례가 많다. 업체들은 가장 중요한 소프트웨어 개발·보급에는 소극적이며, 하드웨어인 기자재 중심으로 생산하고 있다. 스마트팜 활용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은 보기 드물고 스마트팜 확산에 필요한 전문 인력도 부족하다. 
축산스마트팜이 축산업에 제대로 안착하려면 우선 축산농가가 체감할 수 있는 성공모델을 만들어 대중화시켜야 한다. 이와 함께 축산스마트팜 도입농가의 애로사항을 분석 후 정보를 제공해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원이 필요한 스마트팜 전문 업체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지원사업을 발굴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관리할 수 있는 곳이 ‘축산스마트팜 컨트롤타워’다. 
컨트롤타워가 존재해야만 농식품부의 계획된 지원 하에 종합적인 축산스마트팜 발전 전략을 추진할 수 있고, 첨단기술 향상을 이끌 수 있다, 축산스마트팜은 4차 산업혁명과 흐름을 같이 한다. 이 흐름에 뒤처지면 국내 축산업의 경쟁력뿐만 아니라 생태계 존립을 고민해야 한다. 
축산스마트팜 활성화를 위한 출발점은 컨트롤타워다. 많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축산스마트팜 컨트롤타워를 구성해 현장과 연결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