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지난 7일 시작된 화물연대의 총파업이 극적으로 타결됐다. 
화물연대와 국토교통부가 지난 14일 ‘안전운임제의 지속 추진과 대상 확대를 위한 노력’이라는 타협점을 찾은 것이다. 화물연대의 파업이 일주일 넘게 이어지면서 산업계 전반에 피해가 컸다. 제품은 제때 생산되지 못했고 수출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부품과 원자재의 수송길이 막혀 자동차·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의 주요업종에선 일부 생산라인이 멈췄다. 정부 추산에 의하면 그 피해 규모가 1조6000억 원을 웃돈 것으로 파악된다.
축산업계에도 일부 어려움이 발생했지만 큰 피해 없이 마무리된 것은 무엇보다 다행스럽다. 화물연대의 파업 장기화로 사료 운송이 중단되면 수만 마리의 가축이 굶어 죽는 상황이 발생하고, 가축 출하 중단에 따라 상품 가치 하락은 물론 고온으로 인한 폐사 발생 등 축산업계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게 뻔했다.
특히 사료원료의 대부분은 항구를 통한 수입에 의존한다. 사료공장의 원료 재고기간은 불과 2~3일에 지나지 않는다. 이같은 상황에서 사료원료 이송차량의 운송거부와 방해로 일부 항만에서는 곡물의 하역 작업이 멈춰서며 사료원료 수급에 차질이 발생해 문제가 생기는 최악의 사태도 피했다. ‘화물연대의 파업이 며칠만 더 길어졌더라면…’.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그러나 이번과 같은 사태는 언제든 되풀이될 수 있어 우려스럽다. 파업이 일단락됐다고는 하지만 완전히 불씨가 사그라든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잖아도 국내 축산업계는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직격탄을 맞고 있다. 
곡물가격은 수직 상승하는 데다 유가 강세와 맞물려 해상운임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또 환율은 연일 최고가를 갱신하며 사료가격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상황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또다시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인해 사료 운송과 가축 출하가 중단된다면 우리나라 사료산업과 축산업의 기반이 무너지는 상황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정부와 화물연대, 화주 등 이해관계자는 또다시 물류 마비가 재발하지 않도록 한 발씩 양보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