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75% 개체수 감축을”
한돈협회, ASF대책 전환 요구

[축산경제신문 한정희 기자] 양돈장 ASF는 지난달 26일 강원도 홍천에서 올해 첫 확진 이후 추가 발생은 없다. 그러나 전국 양돈장은 여전히 비상 상황에 있다.  
대한한돈협회는 이번 양돈장 ASF 발생은 야생멧돼지를 통제 못 한 환경부의 방역 실패가 가장 큰 원인이라며, 전국 확산 차단을 위해 특단의 개체수 감축 대책의 즉각 시행을 촉구했다.
한돈협회는 최근 호소문에서 “전문가들은 수년간의 각종 연구와 시뮬레이션을 통한 결론으로, ASF 퇴치를 위해서는 3년 동안 매년 75%씩 감축해야 한다고 발표했다”며 “야생멧돼지 제로화 벨트를 만들어 더 이상 남하를 막아야 한다. 지난 문재인 정부 내내 수차례 건의했지만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환경부의 무책임은 한돈농가의 안전과 생존을 위협한다”며 새 정부의 환경부는 지난 정부의 불통과 무능을 되풀이하지 않고, 획기적인 멧돼지 정책변화 제시를 호소했다.
또한 “환경부가 통제 못 한 야생멧돼지로 인한 ASF 발생이 마치 양돈장의 방역 소홀로 전가되고 있다”며 “과도한 예방적 살처분, 지나친 권역화 통제와 이동제한, 과도한 8대방역시설 설치 요구 등 농가는 생존권을 위협받을 정도의 불이익을 받아왔다”고 지적했다.
이에 한돈협회는 “새 정부의 방역 정책은 정확한 역학조사를 통해 발견한 과학적 근거에 의한 ‘산업을 살리는 방역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방역은 축산업을 지키기 위해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산업을 황폐화시키는 ‘방역을 위한 방역, 규제를 위한 규제’는 주객이 전도된 잘못된 정책으로 농장의 방역만으로는 결코 ASF를 종식시킬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정황근 장관)는 지난달 26일 ASF가 발생한 강원도 홍천군 양돈장에 대한 매몰(1175마리), 정밀검사 등 긴급방역 조치를 완료하고 추가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방역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중수본은 이번 양돈장 ASF 역학 관련 농장으로 강원·충북·경북 등 총 771호에 대해 3주 동안 이동제한 명령을 내렸다. 
정황근 중수본부장(장관)은 “농장 2km 떨어진 지점에서 ASF 야생멧돼지가 발견되는 등 지역이 전체가 오염된 상황에서도 농장 밖에서 경작 활동을 하는 등 방역에 부주의한 측면이 있다”며 “농장 종사자들이 영농활동, 산행 등 불필요한 외부활동을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