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 높은 단백질 공급 옛말

농가들 장기불황 속 경영난
늘어나는 비용 감당 어려워
전체 마릿수 약 30% 감소
가격은 더욱 높아질 가능성

산란계 사육면적 확대를 앞두고 계란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산란계 사육면적 확대를 앞두고 계란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목차
<상> 산란계, 얼마나 줄어드나
<중> 계란가격 급등 감당할 수 있나
<하> 가야 할 방향은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산란계 사육면적이 마리당 0.075㎡로 상향 조정되는 가운데 이를 단계적·차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산란계 사육마릿수 감소가 계란가격 급등으로 귀결되는 등 상당한 진통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 2017년 발생한 살충제 계란사건을 계기로 산란계 사육환경 개선을 위해 2018년 축산법 시행령을 개정했다. 산란계의 적정 사육면적을 기존 마리당 0.05㎡에서 0.075㎡로 상향 조정해 신규농장은 즉시 시행하되, 기존농장은 오는 2025년 8월 31일까지 7년간 적용을 유예한 것이다.
문제는 사육면적 확대시 국내 산란업계의 판도가 흔들릴 우려가 크다는데 있다. 사육면적이 0.05㎡에서 0.075㎡로 상향 조정될 경우 산란계 사육마릿수가 대폭 줄어들 수밖에 없어 가뜩이나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계란가격이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직립식 케이지의 경우 제품별로 다르지만 칸당 평균 6~7마리가 사육되고 있어 사육면적 확대시 칸당 사육마릿수가 1.5~2마리 감소한다는 것. 특히 A형 케이지의 경우 칸당 2마리만 수용 가능해 사육마릿수가 반토막 날 수밖에 없다는게 이들 주장의 근간이다.
양계협회의 통계가 이의 반증. 지난 2016년 12월 기준 전국 산란계농가 사육형태는 직립형 케이지 500농가(43%), A형 케이지 499농가(42.9%), 평사 165농가(14.1%)였고, 사육규모는 각각 6448만1000마리(81%), 1246만2000마리(15.6%), 269만8000마리(3.4%)로 나타났다. 이를 단순 계산하더라도 전체 산란계의 약 1/3이 줄어든다는 결론이 도출된다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전체 산란계농가의 약 40%가 A형 케이지를 사용한다는데 있다. 이들이 기존 사육마리수를 유지하기 위해선 케이지를 교체하는 방법밖에 없는데, 채란업계의 장기불황으로 수년간 극심한 경영난에 시달려온 상황에서 이를 감당할 농가가 과연 몇이나 되겠냐는 것이다.  
한 경기도 산란계농가는 “고령의 농가들은 케이지 교체에 큰 비용을 투자할 엄두를 내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대부분 2024년까지만 농장을 운영하다가 접겠다고 말해 2025년 이후 소규모농가들의 대규모 탈락이 점쳐진다”고 말했다.
제주도 농가들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제주지역 전체 사육규모는 100만 마리, 농가는 22개소로 평균 사육마릿수가 4만 마리밖에 되지 않는데 여기서 더 줄어들 경우 경쟁력이 없어 농장을 다 접어야 할 형편이기 때문이다.
한춘규 양계협회 제주도지회장은 “제주도 대부분의 농장은 법과 조례 등에 의해 증축이 불가능한 까닭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라며 “사육면적 확대가 국내 계란시장에 미치는 파급력이 상당한 만큼 단계적·차별적으로 시행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