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한정희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새로운 개념의 가축분뇨 에너지화 시설 모델인 ‘공공형 통합바이오에너지화시설’ 설치 계획을 발표했다. 가축분뇨를 포함한 유기성 폐자원(음식물쓰레기, 농축수산 부산물, 하수찌꺼기 등)을 활용한 전기 생산·공급 시설이다. 기존 시설과 차이는 사업주체가 지자체 또는 공공기관이라는 사항이다. 사업목적은 환경개선·지역발전 등 공익 추구이며, 사업부지 확보가 용이(유휴부지 등 국·공유지 활용) 한 것도 특징이다. 
첫 사업대상자로 국토교통부 산하 공기업인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가 선정됐다. 농식품부는 사업 신청 2개 기관(전북 김제시, JDC)에 대해, 사업 예정 부지확보 및 주민동의 등을 심사한 결과 JDC가 상대적으로 우수했다고 밝혔다. 이에 JDC에 2024년까지 3년간 국비 210억원을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JDC 그린에너지파크’에서 연간 7만 4000톤의 가축분뇨와 유기성 폐자원을 처리, 1800가구(4인 기준)가 연간 사용할 수 있는 4972Mw의 전기를 생산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화석연료인 원유 4767배럴을 대체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14억원(1배럴은 159리터, 4767×159×휘발유 가격 1900원)이 넘는다. 온실가스 2460톤(CO2eq)을 감축해 탄소배출권 판매시 이 금액만도 연간 5000만원 전후가 된다. 제주도는 온실가스 저감, 화석연료 대체, 자원순환시설 운영에 따른 생산·부가가치 유발효과 등으로 연간 약 83억 8000만원의 추가적인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한다.
농식품부는 전기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폐열과 하루 20톤의 고체연료는 마을기업이 운영하는 스마트팜과 주민 편의시설 등에 공급하고, 마을 일자리 창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농업생산지구를 운영하고, 해당 시설을 관광 자원화해 나갈 계획이다. 
‘공공형 통합바이오에너지화 시설’의 성공 열쇠는 인근 마을주민의 민원에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민 반대 민원으로 인해 2007년부터 공동자원화시설(가축분뇨처리시설) 34개소가 사업자로 선정됐음에도 결국 포기했다. 농식품부는 해당 시설의 공공기관 운영으로 주민과의 갈등을 최소화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막상 공사가 시작되면 상황은 크게 변화할 수 있다. 주민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집 인근에 혐오시설이 들어 왔을 때, 삶(냄새 유무, 자산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다. 주민들에게 해당 시설 운영 주체나 땅 주인은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선, 냄새가 시설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해당 시설이 마을 인근에 있는지 인식하지 못할 정도여야 한다. 또 주민들에게 전기료 절감 등 직접적인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또한 시설의 적정한 수익구조를 확립해야 한다. 만년 적자 시설은 한순간 혐오시설로 전락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해당 시설을 2030년까지 10개소로 확대하겠다는 농식품부 목표 달성은 불가능하다.
지금까지 거론한 문제들은 예상이 가능한 사항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예상치 못한 크고 작은 복병들이 발생할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사항까지도 슬기롭게 극복해 축산농가·마을주민이 상생하는 에너지화 시설을 완성할 수 있도록, 면밀한 사전 조사 및 준비가 필요하다. 해당 시설이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가축분뇨와 유기성 폐자원 해결을 위한 새로운 성공 모델을 제시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소중한 시설이 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