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혜진 기자] 낙농가와 정부의 퇴로 없는 싸움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촉발된 갈등으로 생산자 단체가 여의도에서 철야 농성을 벌인지도 50일이 넘어선 가운데, 양측이 한 치의 양보도 없이 대립각을 유지하고 있다. 
여의도 농성장에 따르면 농성 45일차만에 농성장을 찾은 농식품부 권재한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조만간 낙농진흥회 이사회 개최를 통해 농식품부가 발표한 낙농 대책을 원안대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전달하고 떠났다.
한달반을 여의도 길바닥에서 농성을 벌인 생산자단체를 찾아 비수를 꽂고 떠난 농식품부. 
게다가 하루 전인 지난달 31일 이미 낙농진흥회에 이사회 소집요구서를 제출한 가운데 이튿날 아무런 기색 없이 농성장을 찾은 것에 대해 생산자들은 상당한 불쾌감을 토로했다. 검은 속내를 숨기고 나타나 자신들을 기만했다는 이유에서다. 최소한의 예의조차 없이 새 정부 출범 이전에 제도개선을 마무리하는 것에만 목적이 있다면서 볼멘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진흥회 이사회 소집요청을 당연직 이사인 농식품부와 수요자 측 이사 4인이 요구한 것은 이미 그들이 결탁했다는 증거라는 게 생산자 측의 주장이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급박한 상황의 전개 속에 지난 5일 자로 낙농진흥회장이 사퇴하면서 이사회 개최에 제동이 걸렸다. 이 상태로 개의가 된다고 하더라도 생산자 측 이사 7인, 수요자와 학계, 소비자, 정부를 포함한 나머지 이사진이 7명으로 동수기 때문에 과반수 이상의 동의를 얻을 확률이 없어, 개최한다고 하더라도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진흥회장 사퇴로 약간의 시간을 벌었지만, 현정부의 제도개선을 마무리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꺾을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학습효과 덕분인지 생산자측에서도 이렇게 사태가 마무리될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 모양새다. 
생산자측 관계자는 정부가 낙농진흥회장의 사퇴까지 염두에 두지 않았을리 만무하다면서 새로운 전략으로 총공세를 펼칠 수 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경험해온바, 한 수가 막히면 또 다른 수를 내서라도 제도개선을 관철하려 시도하리라는 것이다. 게다가 새 정부 출범까지 약 한 달여도 채 남지 않았기 때문에 시간에 쫓겨 무리수를 둘 수도 있다고 우려하기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제라도 다시 양측이 테이블에 마주 앉아 허심탄회한 논의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대립각만 세우고 상호간의 도넘은 비난이 끊이지 않고있기 때문에 사태가 종결된 후에도 상당한 후유증이 뒷따를 수있다는 이유에서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지속해서 일간지 등을 통해 시장가격이 적용되지 않는 생산비 연동제라는 특수한 구조 때문에 국내 낙농산업이 경쟁력을 상실했다고 주장해왔다. 생산자는 낙농가의 사유재산을 정부가 좌지우지하려 한다면서 언론과 정치권 등에 부당함을 지속해서 호소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민감하고 불필요한 내용까지도 무분별하게 쏟아져 나오면서 상호 간에 생채기를 내고 있다. 의사소통이 전혀 되지 않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감정의 골은 더욱더 깊어지고 이제 서로 한발도 물러설 수 없는 상황까지 맞닥뜨린 정부와 생산자. 
정부가 관철시키려하는 대책안의 취지는 낙농 산업의 경쟁력 강화이다. 대책은 정부가 세우지만, 이를 이행하고 이에 따른 책임을 지는 것은 결국 생산자의 몫이다. 생산자의 공감을 얻어내지 못한 정책이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까. 빨리 마무리 짓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이제라도 정부와 생산자가 소통의 창구를 열어 진정한 낙농 산업을 위한 길을 함께 걸어가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