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한정희 기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남미지역 옥수수·콩 등 수급 악화, 미국 내 가공용 수요 증가, 국제 원유가격 강세, 오미크론 확산 등의 영향으로 국제 곡물 가격 상승이 지속되고 있다. 사료공장들은 양돈용 사료 기준, 지난해에 kg당 150원가량을 인상한 데 이어 올해도 100원 이상의 추가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한다. 축산농가는 다수가 도산하기 전에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농식품부는 지난달 28일부터 원예농가에 무기질비료 가격 인상분의 80%를 지원하고 있다. 지원 물량은 최근 3년간 연평균 무기질비료 구매량의 95% 이내이다. 올해 1월 3일 이후 원예용 무기질비료 구매분에 대해 소급해 가격 보조를 받을 수 있다. 작년보다 재배 면적이 늘었거나 작목을 전환해 비료를 추가로 구매하려는 농업인은 ‘농업경영체 등록 확인서’를 농협에 제출하면 된다. 이 같은 농식품부의 원예농가 지원은 적극 환영받을 일이다. 그렇다면 이제는 축산농가 지원 대책도 내놔야 하지 않나.
사료 원료가격이 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있다. 이로 인해 돼지 사료 비용이 6만원 가량 추가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비육돈 판매 시 순수익이 4만 6949원이었다. 농가들은 이 정도 순수익도 바라지 않고, 손해만 나지 않길 바란다고 한다. 농촌경제연구원은 한우 사육마릿수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 연말에는 355만 마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사료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가축 생산비 부담은 가중되지만, 가축 가격은 하락이 예상된다. 이대로 시간만 지나간다면 산업 붕괴 우려도 있다. 
산업의 부담 해소를 위한 발 빠른 대책이 시급하다. 사료가격 뿐만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한 인력난은 여전한 데다가, 대부분의 영농자재 가격이 오르고 있다. 그러나 농식품부는 사료원료구매자금 금리를 0.5%p 인하하고, 겉보리(4만톤→10만톤)와 소맥피(3만톤→6만톤) 등 대체 사료원료 무관세 적용 할당 물량을 늘린다는 발표 이후 아무런 추가 대책을 내놓지 않는다. 농식품부가 대한민국 축산업을 이대로 포기한 것은 아니길 바란다.
물론 축산농가 스스로 지금의 어려움을 극복할 자구책 마련도 필요하다. 단적으로, 사료 허실을 줄이는 방법이 있다. 양돈장마다 차이가 있지만 사료 허실이 최소 5%에서 최대 20%까지 발생한다. 사료 허실은 사료비용 증가뿐만 아니라 분뇨처리 비용 상승 요인이 된다. 사료 허실을 5% 줄였다고 가정하자. 체중 30~100kg까지 두당 사료섭취량을 240kg 정도라고 할 때, 사료가격이 kg당 600원이고 연간 비육돈 4000마리를 출하하는 농장은 연간 2880만원의 사료가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비를 낮추는 다양한 방법을 찾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 상황은 축산·사료업계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 이상 상황이다. 사료가격 추가 인상이 불가피하므로, 가축 생산비 부담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축산·사료업계의 이 같은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는 농가 사료직거래활성화자금과 사료공장 사료원료구매자금 예산 증액과 무이자 지원을 조속히 시행하길 기대한다. 또 원예농가 무기질비료 가격 인상분을 소급 보조하는 것과 같이, 축산농가 사료가격 인상분을 소급 보조하길 바란다. 대한민국 축산·사료업계가 위기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재차 도약하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 할 수 있는 중요한 일부터 하나씩 해결하기 위해, 지금 움직여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