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국열 기자] 피해 조사 결과에 모두가 만족할 순 없다. 
조사 주체와 당사자들 간 의견불일치는 늘 있어 왔다. 그럼에도 서로의 간극을 좁히려면 피해를 회복할 수 있는 실제적인 도움이 우선이다. 
최근 전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꿀벌집단실종 원인은 ‘해충’이라는 정부 조사 결과에 양봉농가 대다수는 고개를 가로 저었다.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지난해 발생한 꿀벌응애류, 말벌류에 의한 폐사가 주요 원인’이다. 
꿀벌응애류를 예찰 못한 양봉농가들이 방제시기를 놓쳐 봉군이 붕괴된 데다, 응애류 피해 최소화 목적에 3배 이상 약제를 사용해 꿀벌이 약화됐다는 거다. 
다시 말하면 양봉농가가 꿀벌 사육이 미흡해 꿀벌집단실종이 발생했다는 결론이다. 이상기후도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밝히긴 했으나 주된 내용은 농가 부주의에 비중을 뒀다.
헌데 공교롭게도 양봉에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수 십 년 경력의 전문가들이 약속이나 한 것처럼 전국에 고르게 펴져있다. 이들이 일제히 해충 방제를 놓쳐 꿀벌이 대규모로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이다.  
양봉농가들은 “꿀벌집단실종에 농가 부주의가 없다고 말할 순 없지만 지난해부터 해충 피해가 늘고, 꿀벌이 약해진 것도 이상기후에서 시작된 것”이라며 해충 방제 실패가 꿀벌집단실종의 주요 원인이라는 걸 선뜻 받아드릴 수 없다는 입장이다.
관건은 이제부터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피해 회복에 실제적인 도움이 우선돼야 하는데, 실상 정부가 이번에 내놓은 양봉농가 지원사업은 실효성이 떨어진다. 농업경영회생자금, 농축산경영자금은 저리대출상품이다. 
결국 농가가 되갚아야 하는 부채다. 월동 꿀벌 관리기술, 현장 기술지원도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양봉농가들의 눈에 들어올 리 없다. 
일단 급한 불부터 꺼야 한다. 꿀벌집단실종은 국내 양봉농가들이 처음 접해 본 ‘천재지변’인 재난이다. 때문에 그냥 지원금이 아닌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을 고민해야 한다. 이 순간에도 꿀벌이 사라지고 있는 지금, 정부의 결단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