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혜진 기자] 한 지붕 세 가족. 낙농업계가 어려울 때마다 나오는 이 말은 낙농이라는 한 지붕 아래, 낙농진흥회와 서울우유, 일반유업 세 가족의 상황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일컫는다.
한 지붕 아래 세 가족이 있다 보니 다른 집 때문에 속 끓는 일들도 비일비재하다. 
이 때문에 모든 제도·정책 시행에서는 농가 처우에 대한 형평성 문제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닌다. 모든 제도·정책 시행에 있어서는 농가 처우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늘 따라 다니기 때문이다.
좋은 날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궂은날에는 아우성이 심해진다. 
지난해 정부 주도의 제도개선이 논의되면서부터 낙농진흥회 농가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제도개선이 시행되면 자신들부터 시험대에 오를 것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경험해온 학습효과 때문인지, 낙농진흥회 소속 낙농가들의 불안감은 일반 유업체의 직결 농가보다 남다르다. 
정부 예산으로 수급조절이 이뤄지는 특성상, 모든 정부정책은 낙농진흥회 농가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정부가 제도개선을 위한 절차를 밟아 나갈 때마다 낙농진흥회 농가들의 불안감도 점점 증폭되고 있다. 제도개선을 두고 생산자와 정부의 갈등이 극에 치달으면서 분위기는 더 꽁꽁 얼어붙었다. 
우리부터 제도 적용에 따른 피해를 본다는 막연한 두려움 때문이다. 우선 시행 후 일반유업과 서울우유가 뒤따르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와 또, 이른 시행 시기에 따른 시기적 손실 등에 대한 걱정이 앞선다는 것이다. 
여기에 최근에는 낙농진흥회 소속 농가와 집유조합들 사이에서 감산 정책이 부당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원유생산량이 줄어들면서 일부에서 원유 부족 현상을 겪는 한편, 유크림 등 초과물량으로 생산됐던 가공품들이 품귀현상을 빚는 사태가 일어났다. 
특히 유크림 소비가 집중되는 크리스마스부터 연말까지 관련 업계가 들썩일 정도의 여파가 있었다.
이런 이유로 감산 정책을 시행하던 집유주체들이 물량 확보를 위해 일부 제재를 풀기 시작했다. 
대부분이 감산 비율을 조정하거나 쿼터 물량에 대해서는 정상 유대를 지불하면서 생산량을 조절해왔지만, 낙농진흥회만은 요지부동하며 낙농진흥회 농가들 사이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낙농진흥회는 일시적으로 원유생산량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나, 현재 편성된 수급조절 예산 안의 범위에서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감산량을 회복하기는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소속 농가들은 생산비 증가에 따른 경영 부담, 여타 유업체 소속 농가들과의 형평성 문제 등을 이유로 감산 정책을 풀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또 정부 정책의 우선 실행자로서 오히려 인센티브를 받아야 할 상황에 농가 손실이 누적되는 것은 부당하다는게 그들의 주장이다. 계속해서 이 상황이 이어지면 결국엔 상대적 박탈감에 따른 농가간 갈등도 유발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비단 낙농진흥회 소속 농가에 국한된 문제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낙농산업의 미래와 안정적인 기반 유지를 위해서는 고통을 분담할 용기도 필요하다. 
지금은 내가 아니지만 언젠가는 내가 될수도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