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11월1일 한우의날(대한민국이한우먹는날) 온라인 기념식에서 전국한우협회, 농협중앙회 축산경제제주 등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11월1일 한우의날(대한민국이한우먹는날) 온라인 기념식에서 전국한우협회, 농협중앙회 축산경제제주 등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공급 뛰어넘는 초과수요에 호황 

 

한우 도축물량 증가 불구

가정 소비 늘며 가격지지

한우먹는 날 온라인 성황

8억 상당 사상 최대 매출

 

“가격 호황 요인 소멸하면

암송아지 200만 원 수준”

GS&J, 농가 적자 불가피

협회 “암소 감축 동참을”

 

[축산경제신문 이혜진 기자] 한우업계는 사육마릿수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의 우려 속에서도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평온한 한해를 보냈다. 올 10월에 평균 가격은 kg당 2만 2610원으로 최고가격을 경신했으며, 11월에는 2만 1208원으로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 역시도 코로나 19로 인한 가정 내 소비 증가 등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가격을 지지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힘입어 전국한우협회와 한우자조금이 11월 1일 ‘한우의 날’을 맞아 실시한 온라인 한우장터가 나흘간 7억 6000만 원이라는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한우자조금과 한우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2일까지 진행된 이번 행사는 올해 진행된 온라인 할인판매 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진 가운데 불고기가 총판매량의 23%로 가장 많이 팔렸고, 등심은 21%, 국거리는 16%로 뒤를 이었다.

한우자조금은 코로나19 장기화로 비대면 쇼핑 문화가 확산하는 추세에 맞춰 올해부터 설과 추석 명절에도 온라인 할인판매 행사를 진행했다. 올 설과 추석맞이 온라인 한우장터 매출은 각각 5억 2000만 원, 7억 원으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이번 한우의 날 행사 매출액도 추석 대비 약 8%가 증가한 금액으로, 이는 질 좋은 한우를 최대 58%까지 할인하고, 온라인을 통해 소비자 구매 접점을 높인 판매 전략이 효과를 거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가격 호황이 소멸될 것을 우려해 사육 마릿수 감축을 통한 산업 안정화 작업에 적극적인 참여를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GSNJ는 리포트를 통해 호황 요인은 소진 또는 소멸해 올해 말∼내년 초부터 암수 도축이 증가하면서 가격 하락기에 접어들어 2024년경 도매가격은 1만 6000원, 암송아지 가격은 200만 원 수준으로 하락하고 생산비용이 높은 농가는 적자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을 하기도 했다.

한우업계는 이 같은 상황을 우려해, 생산자 주도의 수급조절 사업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한편, K방역 및 암소 감축 대책에 적극 동참을 독려하는 캠페인을 펼쳤다. 전국한우협회를 중심으로 가축시장 현장에서 전국한우협회 지부장과 축협조합장 등 전국의 한우 지도자들이 공동으로 △철저한 차단 방역으로 구제역, 브루셀라 등 가축전염병을 예방하는 한우 K-방역 실현 △한우 사육마릿수 증가로 인한 소 값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암소 감축 및 비육 지원사업 동참을 결의했다. 

 

[낙농]

제3차 낙농산업발전위원회에서 정부는 원유가격차등가격제 도입(안)을 내놓았다.
제3차 낙농산업발전위원회에서 정부는 원유가격차등가격제 도입(안)을 내놓았다.

 

정부 주도 제도개선안 연일 잡음 

 

정부 주도 낙농발전위 구성

가격 결정구조 개선안 내놔

농가에 불리한 내용 상당수 

협회, 정부 개입 유감 표명

 

“진흥회 개편 공공기관화

원유 용도별 차등가격제 

낙농 희생강요 부당 처사”

이승호 회장, 강력 반발

 

낙농산업은 정부 주도의 제도개선으로 연일 잡음이 끊이질 않는 해였다. 지난 8월 기본원유가격 인상을 신호탄으로 정부는 낙농발전위원회를 구성하고 연내 낙농산업종합대책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차관을 위원장으로 학계 및 전문가, 생산자단체, 수요자 단체, 소비자단체, 유관단체, 생산자, 유업체로 위원회를 구성했다. 발전위의 논의 과정 및 내용은 전 국민에게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실무 추진단이 마련한 과제들을 자문단을 통해 검증한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주요 논의 사항은 △원유의 가격 결정 및 거래체계 개선 △생산비 절감 및 생산구조 전환 △정부재정지원 및 R&D 개선 △낙농진흥회 의사결정체계 개편 등이다.

이번 제도개선의 가장 큰 목표는 가격 결정구조 개선이다. 정부는 국산 원유(原乳) 소비처인 흰 우유 소비는 감소하는데, 유가공품 소비가 늘어나면서 수입 유제품 비중이 51.9%까지 높아진 것은 유업체가 원가가 낮은 수입원유를 사용하는 것이 원인이라고 분석하면서 2026년 유제품 관세 폐지 이전에 가격 결정구조 개선을 위한 낙농 산업 중장기 발전 방향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이러한 계획에 대해 생산자단체는 유례없는 정부 개입에 유감을 표명했으며, 유업계는 속도감 있는 제도개선을 주문하면서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학계는 제도개선의 필요성은 공감하나, 합의 없는 일방적인 제도개선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낙농업계는 정부의 계획에 물음표를 던졌다.

정부는 계획대로 관련 단체들과 주무 부처 등의 의견을 취합해 밀실에서 제도개선을 추진했다. 생산자들의 거센 반발 속에서도 3차 회의에서는 구체적인 방안들이 제시됐다. 

농식품부는 용도별 차등 가격제를 도입하고 중장기적으로 MMB(생산자 연합)와 유업체가 직거래하는 방식의 원유거래 개편 방안을 내놓았다. 

정부안에 따르면 현재 쿼터 내에서 단일가격을 적용하는 것을 원유의 용도에 따라 음용유와 가공유로 구분해 가격을 다르게 적용한다. 그 기준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실적을 고려해 음용유 186만 톤을 리터당 1100원에 구매하고 가공유 30만 톤을 리터당 900원에 구매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 같은 가격을 적용하면 낙농가소득은 현재보다 1.1%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는 한편, 유업체에는 가공유 구매에 대한 보상으로 리터당 100~200원을 지원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원유 거래방식 개편 방안으로 MMB(생산자 연합)와 유업체가 직거래 도입을 내놓았다. 

정부는 MMB-유업체가 직거래하되, 구매계획 사전신고, 승인 및 이행실적 점검하는 방식으로 원유 거래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 원유가격 결정 및 수급을 담당하는 낙농진흥회의 의사결정체계를 개편하고 이사회에 객관적인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합리적인 개편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부의 이 같은 개편안에 생산자와 수요자는 난색을 보이는 한편 학계에서도 개편 방향에는 공감하나 세부 추진 방안에 보완이 필요하다는 뜻을 밝혔다.

이승호 한국낙농육우협회장은 “진흥회 이사회 결정구조 개편으로 공공기관화해 연동제 개편, 용도별 차등가격제 도입, 원유가격 인하, 쿼터 무력화를 추진하면 원유 생산기반이 악화될 것”이라면서 “유업체의 이권 보장을 위해 낙농가의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업계도 정부 계획에 반기를 들었다. 이창범 한국유가공협회장이 “처음 논의부터 유가공업계가 주장했던 원유 기본가격에 유지방 인센티브가 이중 적용된 부분을 제거하는 방안이 빠져있다”라면서 “제도개선을 통해 원유 구입 부담을 경감시키지 못하면 제도개선이 의미가 없다”고 못 박았다. 

학계도 방향성에는 공감하지만, 정부가 제시한 세부 추진 방안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했다. 학계에서는 제도개편을 통해 생산자와 수요자, 소비자에게 어떤 이익과 손실이 있는지 조밀하게 파악하는 한편, 이에 드는 예산에 대한 지속가능성 등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는 이유를 꼽았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