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는 남쪽 확산 필연
환경부 ‘ASF 클린존’ 계획
업계·학계서는 ‘박멸’ 촉구

 

[축산경제신문 한정희 기자] 환경부가 ASF 야생멧돼지 남하 차단을 위해 강원과 경북 사이에 ‘ASF 클린존’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반면 한돈농가와 전문가들은 ASF 전국 확산 위기 대응을 위해, 개체수 감축을 일정 지역이 아닌 전국에 걸쳐 박멸 수준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한돈협회는 지난 1일 협회 도협의회장, 전문가, 농식품부, 환경부 등이 참여한 가운데 ‘2021년 제3차 방역 대책위원회’를 개최했다. 제 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대면과 화상 이원 연결로 이뤄졌다.
화상으로 참여한 노희경 야생동물질병관리원장은 이날 ASF 클린존 구축 계획을 밝혔다. 노 원장에 따르면 영월·원주·정선·평창·삼척·동해·제천 등을 중심으로 강원과 경북 사이 야생멧돼지 밀도를 크게 낮춘다. 
클린존 내 야생멧돼지 전멸은 아니지만 개체수를 크게 줄여 남하를 최대한 막겠다는 계획이다. 원활한 사업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지자체·국방부 등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며, 예산 확보도 해결해야 할 큰 과제다.
한돈농가와 전문가들은 전국에 걸친 야생멧돼지 개체수 감축을 주장했다.
김정우 한돈협회 방역대책위원회 위원장(부회장)은 “야생멧돼지가 발견되고 며칠이 지나면 인근 양돈장에서 ASF가 발생하는 형국”이라며 “야생멧돼지를 퇴치하지 않고는 양돈장이 살아남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울타리를 치면 야생멧돼지는 넘고를 언제까지 반복해야 하는지 의문이다”라고 한탄했다.
박선일 강원대 교수는 “ASF 발생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이대로면 올해 안에 남쪽 지역까지 확산 될 것”이라며 “최근 포획 개체 중 75%가 새끼돼지로, 야생멧돼지들이 번식 횟수를 늘린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또 “야생멧돼지 개체수는 2019년 ASF 첫 발생 이전 상태가 됐을 것”이라며 “전국 확산을 막으려면 야생멧돼지 개체수 감축을 위한 혁신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ASF 야생멧돼지가 100% 죽지 않고 15% 가량은 바이러스를 긴 시간 보유하는 캐리어로 남아 ASF 확산의 원인이 된다”고 밝혔다.
정현규 도드람동물병원장은 “올해 8월 ASF 야생멧돼지 폐사체 발생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115.8%나 급증했다”며 “ASF 발생지역이 넓어지면서 방대한 지역이 오염됐다. 올가을이 위험하다”고 말했다.
한편 배상건 협회 강원도협의회장은 “8대 방역 시설 설치는 농가를 위한 것인가. 농식품부 책임 전가용인가”라며 “ASF 발생 2년 동안 관련 정책에 변화가 없다. 강원도는 농식품부가 버린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이용진 농식품부 사무관은 “점검 결과 이번 ASF 발생 농장 3곳 모두 8대 방역 시설 설치 및 실천에 미흡했다”며 “소독을 하지 않은 차량이 농장을 드나들었고, 농경지 위험성을 계속 알렸는데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정부가 농가를 옥죈다고만 할 것이 아니라 방역을 위해 더 노력해야 한다”며 “강화한 8대 방역 시설을 설치해도 적극 활용을 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