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고병원성 AI 발생으로 치솟은 계란값이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계란가격은 한 판에 만 원을 육박하는 등 말 그대로 ‘금란’이 됐다.
동네마트의 30구짜리 코너는 텅텅 비었고 15구짜리 계란은 8000원을 호가하는 까닭에 들었다 놨다 하며 고민하는 사람들도 목격된다.
대형마트 온라인몰의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대형마트 3사의 인기검색어 1위는 ‘계란’으로 30구짜리는 모두 일시품절 상태다.  
이같은 계란가격을 잡기 위해 정부가 빼들은 카드는 역시나 수입이다. 정부는 가격안정이란 명목 하에 수입계란 한 판당 약 5000원의 항공비 지원과 함께 1500원의 선별포장비를 지원했다. 또 수입계란의 관세율을 27%에서 0%로 인하했다. 설상가상으로 최근에는 기재부까지 합세해 연말까지 수입계란 3만6000톤에 대해 추가 혈세를 투입한다고도 했다.
하지만 밥상물가의 지표라 불리는 계란가격은 어느 날 갑자기 오른 것이 아니다. 
정부가 AI 발생농장 반경 3km까지 살처분 범위를 확대한 결과 산란계농가 187개소, 약 1700만 마리의 닭이 땅에 묻혔고 이로 인해 계란 공급량은 30% 가량 감소했다.
AI 발생 전 1500원이던 병아리 가격은 3000원까지 올랐다. 3500원 수준이던 중추 가격은 7000~8000원을 호가한다. 살처분 보상금은 AI 발생 전월 평균 시세가 기준으로 현재 병아리와 중추 가격이 반영되지 못했다. 
이마저도 전국 평균 30%밖에 지급받지 못한 까닭에 농가는 이제는 닭이 있어도 못 넣는 처지가 됐다. 계란 생산은커녕 아직도 입식을 못한 농가가 부지기수란 얘기다.
정부는 계란 수입 대신 농가의 병아리나 중추 비용을 지원했어야 한다는 비난이 쏟아지는 이유를 거듭 곱씹어보길 바란다. 농가 지원을 통해 계란 수급을 정상화할 생각은 안 하고 언발에 오줌누기식의 수입 처방은 반짝 효과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부는 돈 낭비, 시간 낭비를 당장 멈추고 살처분농장의 실질 지원대책을 촘촘하게 세워야 한다. 
땜질식 대책만으론 현 상황을 타개할 수 없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