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한정희 기자] 우리나라 농업·농촌은 많은 위기 속에 있다. 급격한 기후변화, 증가하는 자연재해, 빠른 고령화 등 전방위적인 불확실 속에서 시간이 흐른다. 이러한 불확실을 완벽하게 극복하는 방법은 현재 없다. 그럼에도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만들기 위해 다 함께 좀 더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한 필수 요소를 꼽으라면 단연 새로운 주역인 젊은 농업인 육성이다. 농촌의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고 농업 공동체를 지탱하기 위해서는 청년 농업인을 반드시 육성해야 한다. 이들이 안정적으로 농촌에 정착해 뿌리를 단단히 내릴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는 갈수록 치열해지는 글로벌 경쟁 속에서 식량 안보를 굳건히 유지할 수 있는 큰 힘이 될 것이라 믿는다. 
농축산업에 종사하는 청년은 매년 급감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농가인구의 고령화율은 42.5%에 달한다. 농가 경영주 평균 연령은 66.1세에 이른다. 지난 20년간 39세 이하 경영주가 있는 농가는 9만 1516호(2000년, 6.6%)에서 1만 2815호(2020년, 1.2%)로 7만 8701명(86%)이 감소했다. 반면 70세 이상 경영주가 있는 농가는 22만 6663호(2000년, 16.5%)에서 41만 2513명(2020년, 39.8%)으로 18만 5850명(82%)이 증가했다.
이렇게 많은 농업·농촌이 인구 감소로 인해 사회 시스템을 유지할 수 없게 되면서 여러 생활상의 불편이 발생하고 있다. 주민 고령화 심화 문제도 심각하다. 대도시는 극심한 집값 상승과 교통 혼잡, 생활비 증가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반면 일과 삶의 균형을 찾고 도시를 떠나 농촌에서 새로운 생활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늘며 농촌이 새로운 변화의 전기를 맞고 있다. 농촌의 역할이 새롭게 주목 받는 만큼 농촌을 한국판 뉴딜의 핵심공간으로 재생시키고, 장래 지속 가능한 농촌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정비하는 등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청년 농업인 부족 문제를 심각하게 인지하고, 기존의 정책과 법·제도를 뛰어넘는 과감한 변화가 필요하다. 농촌에 대한 기대를 갖고 있는 젊은 농업인들이 농업·농촌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실패하는 청년 농업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영농 초기부터 안정적 정착에 이르기까지 충분한 지원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실패해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시스템도 필요하다.
코로나는 그동안 잊고 살았던 농업·농촌의 소중함을 일깨워줬다. 세계적으로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확인시키면서, 다시 한번 농업·농촌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게 했다. 식량자급률은 45.8%로 지난 10년 사이 10% 이상 하락했고, 곡물자급률은 21%에 불과하다. 대외적으로 코로나 팬데믹으로 국제 곡물수급이 불안해졌고, 대내적으로는 긴 장마와 잦은 태풍, 냉해 등 자연재해가 이어지고 있다. 
젊은 농업인 관련 정책은 빠른 속도보다 방향을 바로 잡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 차원에서 청년 농업인 육성을 위해 각종 교육, 정착자금 지원, 농지 임대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해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부족한 사항은 여전히 많다. 이러한 사항을 좀 더 촘촘하게 보안해야 한다. 정부와 함께 생산자단체 등이 힘을 모아 젊은 농업인이 농업·농촌에 유입되고 다양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농촌·청년·축산’이 지속 상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