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예방 차단방역 철저

- 돼지에서만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 치사율 최고 100%
-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관리, 백신이 없어 발생 시 살처분
- 전염경로 : 외국여행자, 외국인근로자가 휴대·반입하는 오염된 돼지생산물, 야생멧돼지 등을 통해 전파
- 증상 : 높은 열, 사료섭취 저하, 피부충혈, 푸른반점, 유산 등

 ❍ 외부차량과 출입자에 대한 통제, 축사 내외부 및 농기계 소독 철저, 모임자제, 야생멧돼지 농가 침입차단 등 차단방역 철저 
 ❍ 양돈농가는 매일 임상관찰을 실시하고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축 발견 시 즉시 방역기관(1588-9060/1588-4060)에 신고

 

2. 가축 및 환경관리

 ❍ 철저한 차단방역과 축사를 위생적으로 관리하며 정기적으로 소독을 실시하고 울타리, 그물망 설치 등으로 야생동물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함
 ❍ 무더위 고온 스트레스로 인해 가축의 생산성이 저하되며 심한 경우 폐사할 수 있으므로 고온스트레스 요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관리
 ❍ 국립축산과학원 축사로 누리집에서는 3시간 단위의 축종별 가축 더위지수와 혹서기 사양관리 기술 등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활용
    * 가축사육기상정보시스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사로 누리집 (chuksaro.nias.go.kr)
 ❍ 환경관리
  - 태양 복사열에 대한 대책으로 축사천장에 단열 보강하고 단열이 부족한 지붕에는 스프링클러 등으로 물을 뿌려주고 운동장에 차광막을 설치하여 환경 온도를 낮춤
  - 축사에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하고 송풍팬 가동 및 지속적인 환기로 열과 습기를 제거함
  - 환기팬에 먼지, 거미줄이 과다하게 조성되어 있을 경우 10% 이상의 성능 저하가 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청소와 벨트 점검
  - 안개분무와 송풍팬을 함께 활용하여 물의 기화열을 이용해 온도를 낮춤(안개분무 사용 시 너무 습해지지 않도록 주의)
  - 단위 면적당 사육밀도를 평상시보다 10~20% 정도 줄여 체열발산에 의한 온도상승을 감소
  - 축사를 청결히 하며 축사 주변 잡초와 물웅덩이를 제거하여 해충 발생 방지
 
 ❍ 사양관리
  - 여름철에는 물 섭취량 증가가 두드러지므로 깨끗하고 시원한 물을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급수량은 충분한지 확인하고 급수조는 항상 청결하게 유지
  - 사료 급여 횟수를 늘려 소량씩 자주 급여하고, 비타민과 광물질 등 첨가제를 추가 급여, 사료조는 자주 청소 위생적으로 관리
  - 사료가 변질되지 않도록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고 너무 오랫동안 보관하지 않도록 적정량 구입
  - 볏짚은 썰어 급여하고 소의 사료섭취량 및 사료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볏짚보다는 양질조사료 급여
  - 소 등 대가축은 기온이 뜨거운 시간(오후 2~4시경) 숨을 헐떡이는 증상을 보이면 뒷목 부분에 찬물을 뿌려주고 한낮에 우사주변 바닥이 콘크리트인 경우는 바닥에 물을 뿌려줌
  - 열사병 일어난 소는 즉시 그늘로 옮기고 머리에 냉수를 끼얹어 주고 강심제, 생리적 식염수와 5% 포도당액을 주사하며 돼지는 해열제를 주사하고 물을 분무
 ❍ 갑작스런 호우에 대비하여 축사주변, 운동장, 초지·사료포 등의 배수로 정비함

 

3. 사료작물

 ❍ 하계사료작물, 특히 옥수수, 수수류 등 화본과 사료작물에서는 멸강충 방제를 위해서는 생육관찰을 잘하고 발생하는 즉시 방제해야함. 멸강충은 돌발 해충으로 전체 면적에 큰 피해를 주므로 조기 예찰이 무엇보다 중요함
 ❍ 멸강충은 약제에 대한 내성이 커서 4령 애벌레 이상 되면 약제를 살포해도 쉽게 죽지 않기 때문에 방제 적기를 놓치지 않아야 함
    * 멸강충 : 멸강나방 유충으로 중국에서 비래, 5월 하순에서 6월 상순, 7월 중·하순 등 연간 1∼2차례 발생하여 화본과 작물의 잎과 줄기에 피해를 줌

 

4. 축사 화재예방 및 정전 시 대처요령

 ◎ 축사 화재 예방 요령
 ❍ 농장 규모에 맞는 전력 사용
 ❍ 정기적인 안전점검으로 안전한 전기사용 생활화
 ❍ 축사 내외부의 전선 피복상태 및 누전차단기 작동 확인
 ❍ 환풍기, 보온등, 온풍기 등 전기기구와 전선의 관리 철저
 ❍ 전기기구 주변의 먼지, 거미줄 등 주기적 청소, 전기배선과 콘센트 문어발식 사용 금지
 ❍ 파손된 플러그와 노후화된 콘센트 등 노후 전기시설 즉시 교체
 ❍ 전기설비 점검과 개보수는 전문업체에 의뢰
 ❍ 축사 내 소화기 비치 및 소방차 진입로 확보
 ❍ 축사 화재 등 재해대비 재해보험 가입
 자가발전기나 비상 발전기 등 비상용 에너지 확보
 ❍ 평상시 자가발전기 상태 및 유류량 점검(매주 1회)
 ❍ 농장의 소요전력 사전 파악 및 비상발전기 임대가능 업체 연락처 확보
 ❍ 발전기 용량 부족 시 점등, 환기 등 필수 장비 위주 가동
 비상 발전기가 가동되지 않을 경우 신속한 비상조치 수행
 ❍ 윈치커튼을 열어 자연환기에 의한 내부 환경 조절
 ❍ 무창축사는 출입구, 비상환기창 등을 개방하여 열, 유해가스 등 비상배출
 정전됐을 경우 농장주 휴대폰 등에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경보기 설치
 비상용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드럼통 또는 대형 수조 준비

▶ 농촌진흥청 제공 ◀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