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 때마다 살처분…피해 막대

주기적 발병…파동 몸살
겨울철새 방지 방법 없고
주변국에서 언제든 유입
경유지역인 서해안 벨트
농가 피로도 갈수록 누적
대규모 사회적 비용 소요
‘살리는 방역’ 백신 절대적

 

목 차
<상> AI 백신 필요성, 왜 나오나 
<중> 반대의 이유는
<하> 백신 개발 어디까지 왔나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고병원성 AI는 일단락됐지만 AI 백신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뜨겁다.

지난 겨울 발생한 고병원성 AI의 후폭풍으로 계란가격이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계란 가격을 잡기 위해 외국산 계란 수입을 지속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는 등 산업 전반에 후폭풍이 거세다.

이같은 이유로 산란계농가들은 고병원성 AI 백신 도입을 주장하고 있지만, 정부는 인체감염, 상재화 등의 이유로 ‘절대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들은 왜 고병원성 AI 백신 도입을 요구하는 걸까.

 

# 국내 2~3년 주기로 발생

고병원성 AI는 지난 2003년 국내에 처음 발생한 뒤 2~3년 주기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 2003~2004년 국내 최초로 닭·오리에서 19건이 발생한 이후 2006~2007년에는 닭·오리·메추리에서 7건이 발생했다. 또한 2008년에는 닭·오리 33건이, 2010~2011년에는 닭·오리·메추리·꿩에서 53건이 발생했다.

이어 2014~2015년에는 총 391건이 양성 판정을 받았고, 2016~2017년에는 총 421건이 양성 판정됐다. 2017~2018년에는 산란계·육용종계·육용오리·종오리 등에서 22건, 2020~2021년에는 육용오리·종오리·산란계·육계·종계 등에서 108건이 발생하는 등 2~3년에 한번 꼴로 발생하고 있다. 

즉, 지난 2003년부터 현재까지 총 8회의 AI가 발생해 2년간 지속되는 등 18년의 기간 중 무려 16년은 AI가 발생한 셈이다.

 

# 주변국 다발…언제든 유입 가능

원인은 겨울철새다.

전문가에 따르면 역대 국내에서 발생한 AI는 중국 재래시장에서 발생한 뒤 겨울철새를 통해 유입돼 육용오리·종오리, 산란계·종계·토종닭, 육계 차례로 발생한 수순을 밟아왔다. 또한 철새에서 고병원성 AI 항원이 검출된 경우 시간 차를 두고 가금농가에서도 추가로 발생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서해 갯벌과 물길, 들판은 철새가 경유하는 천혜의 자연환경으로 서해안 벨트를 따라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에 반복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등 해당 지역 농가들의 피로도가 높은 실정이다. 

게다가 중국을 비롯 동남아시아 등 주변국에서 고병원성 AI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해외 동물질병 발생동향 4월호에 따르면 일본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H5N8형 AI가 발생 중이다. 또 중국과 홍콩 야생조류에선 지난해 12월부터 H5N8·H5N6형 AI 바이러스가 검출되고 있고 대만과 베트남은 거의 연중 H5N1·H5N2·H5N5·H5N6형 AI가 발생하는 상황이라 고병원성 AI는 언제든 다시 유입될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 천문학적 피해…백신 검토해야

이에 따른 피해도 만만찮다. 

방역당국은 고병원성 AI 발생농장과 주변농장에 대해 살처분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까지 살처분으로 1억4000만 마리의 가금류가 희생됐고 경제적 피해도 1조를 훌쩍 넘어섰다. 전후방 산업 등 간접적 피해까지 포함한다면 고병원성 AI로 인한 피해는 천문학적 규모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재정소요액만 해도 △2003~2004년 874억 원 △2006~2007년 339억 원 △2008년 1817억 원 △2010~2011년 807억 원 △2014~2015년 3364억 원 △2016~2017년 3621억 원 △2017~2018년 906억 원에 달한다.

산란계농가들이 고병원성 AI 백신접종을 요구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매년 겨울 철새가 유입되고 있고 고병원성 AI 발생 시마다 살처분으로 인해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는 것. 또한 살처분 정책이 가금산업 근간을 흔들 만큼 업계에 악영향을 끼치는 만큼 산업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백신 정책을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한 가금전문가는 “AI 발생빈도가 높은 고위험지역의 산란계 농장을 대상으로 백신접종을 검토해야 한다”며 “이제는 죽이는 방역이 아닌 살리는 방역을 실시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