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영월군 농장서 발생
“사실상 상재화” 한목소리
전국 확산 가능성도 제기

발생농장 반경 10km 방역대 내 양돈장 현황 지도
발생농장 반경 10km 방역대 내 양돈장 현황 지도

 

[축산경제신문 한정희 기자] 강원도 영월 소재 사육농장에서 ASF가 발생하면서, ASF 상재화가 현실화됐다는 목소리가 한층 커졌다. 사육돼지 ASF 추가 발생 우려와 함께 전국 확산 가능성도 제기됐다. 또 ASF 청정화를 위한 대책이 현재까지  없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ASF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지난 5일 강원도 영월군 흑돼지 농장에서 ASF가 확진됐다. 지난해 10월 9일 강원도 화천군 양돈장 발생 이후 7개월 만이다. 
영월군에서는 그동안 야생멧돼지에서 11건의 ASF가 발생했고, 이번 농장과 ASF 야생멧돼지가 발견된 가장 가까운 거리는 약 1.2km(올해 2월 25일)에 있다. 
중수본은 확산 차단을 위해 ASF 발생농장의 흑돼지 401마리를 긴급 살처분하고, 지난 5일부터 7일까지 48시간 동안 경기·강원·충북지역 일시이동중지명령(Standstill)을 발령했다.
발생농장 반경 10km(방역대) 내 농장 4호에 대해 정밀검사를 실시 결과 음성이 나왔다. 역학관계 농장 7호와 인접 12개 시군 소재 170호에 대해 예찰 및 일제 정밀검사를 12일까지 실시한다. 12개 시군은 △영월 △강릉 △삼척 △원주 △정선 △태백 △평창 △횡성 △단양 △제천 △봉화 △영주 등이다.
강원남부·충북북부·경북북부 권역은 2주간 돼지·분뇨를 권역 밖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또 전국 흑돼지 농장(208호)에 대한 방역실태를 오는 15일까지 점검키로 했다.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은 지난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ASF 관계 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방역 강화에도 사육농장에서 ASF가 발생했다”며 “관련 부처는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방역에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을 지시했다.
다수의 전문가는 ASF 야생멧돼지 폐사체가 설악산 국립공원에서 발견됨에 따라, ASF 청정화가 어렵게 됐고, 단기간 청정화는 방법도 없으며 불가능한 상황으로 ASF 상재국이 됐다고 밝혔다.
박선일 강원대 수의대 교수는 “지난해 2월 이후 몇 차례에 걸쳐 ASF 바이러스가 국립공원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결국 설악산 국립공원에 2건, 경기도 가평군 소재 연인산 도립공원에서 1건이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또 “앞으로 이들 공원을 기점으로 무수한 ASF 야생멧돼지가 쏟아져 나올 것”이라며 “앞으로의 모든 방역 정책은 ASF가 상재했다는 전제하에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일본이 돼지열병(CSF)을 청정화하지 못하는 이유도 야생멧돼지 때문”이라며 “뛰어난 백신이 나와도 야생멧돼지에게 먹일 효과적인 방법이 아직은 없다”고 말했다.
왕영일 대한한돈협회 감사는 “ASF 청정화를 위한 대책이 전무한 상태로, 야생멧돼지와 사육돼지가 공생하는 상황이 됐다”며 “ASF 야생멧돼지는 자유롭게 돌아다니고 농가는 ASF 유입방지를 위해 노심초사해야 하는 상황이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의 농장 차단방역 강화 압박은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ASF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