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처분 위주 무리한 방역
발생 때마다 막대한 재정”

“변이·인체 감염 우려 높고
상재국 꼬리 달면 타격 커”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최근 가금업계의 뜨거운 감자는 AI 백신이다.
2월 23일 현재 총 2900만 마리에 달하는 가금류가 땅에 묻혔고 이로 인해 가금산물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AI 발생으로 인해 천문학적 재정이 소요되고 있다며 살처분 대신 백신 정책으로 돌아서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으나 일부는 바이러스 변이, 인체감염 우려 등을 이유로 여전히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지난달 19일 대한수의사회 회의실에서 개최된 ‘효율적인 고병원성 AI 방역을 위한 방역정책 개선방안 토론회’에서도 AI 백신 도입 문제를 두고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이날 윤종웅 가금수의사회장은 “살처분은 비싼 정책”이라며 “AI 발생 시마다 직접 피해만 평균 2100억 원, 2차 피해까지 5500억 원의 재정이 소요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윤 회장은 이어 “국내에 이미 항원뱅크가 구축돼있어 필요시 1주일에 1억 마리 분의 백신을 제조할 수 있고 항원형이 일치할 경우 100% 방어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며 “예방백신 접종시 직간접 피해액을 66.7% 감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두영 양계협회 채란분과위원장도 “산업의 피해를 감안해 산란계나 종계처럼 장기간 사육하는 종들은 백신을 도입해 살리는 것이 옳다”고 덧붙였다.
반면 반대 측은 AI 백신 접종시 득보다 실이 더 많다고 주장했다. 
김만섭 오리협회장은 “많은 이들이 백신을 접종할 경우 살처분을 안 해도 되는 것으로 오인하고 있다”면서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양성농장은 살처분한다”고 역설했다.
김만섭 회장은 이어 “AI 바이러스의 경우 144가지의 다양한 혈청형이 존재하고 변이가 쉽게 일어나 백신 접종에 의한 예방에 한계가 있다”며 “오리에는 효과가 낮고 육계 등 단기 사육축종에서는 무의미하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또 “가장 큰 문제는 AI가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인체 감염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라며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데다 사망사례도 보고되고 있어 국민에게 불안감을 조성할 우려가 크다”고 역설했다.
김현태 토종닭협회 차장 역시 “백신 접종시 청정국 지위 상실 및 가금류 수출에도 영향을 미친다”면서 “중국 등 상재국으로부터 가금시장 개방 요구를 거절할 명분도 없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재홍 한국동물보건의료정책연구원장도 “중국은 AI 백신접종을 시작한 이후 바이러스의 변이가 심해지고 있다”면서 “백신 접종시 AI 상재국이라는 꼬리표를 떼지 못하는 등 중장기적인 댓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