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국열 기자] 적체된 돼지고기 후지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매년 쌓이는 후지 재고물량은 돼지고기 가격하락으로 이어져 농가 소득 감소가 우려된다. 후지 재고로 누적된 피해는 1차 육가공업체들의 줄도산도 유발하고 있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산 돼지고기 후지 재고량은 전체 돼지고기 재고의 55.5%인 4만 톤으로 2018년 대비 260%, 2019년 대비 130% 증가했다.     
이는 사용처가 제한적인 후지가 코로나19로 학교 개학이 늦춰지면서 급식업체들의 후지구매가 줄었고 외식 감소, 가공식품 판매량 감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시급한 후지 재고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선 후지가 가장 많이 유통되는 2차 육가공업체를 통한 소비 활성화가 필요하다. 지난해 1월부터 8월까지 후지 월평균 생산량의 절반을 훨씬 상회하는 67.6%가 2차 육가공업체를 통해 유통됐고, 베이컨을 제외한 2차 육가공업체의 햄·소시지 등 원료육으로 14만5000톤 정도 사용됐다. 
국내산 후지는 신선하고 안전하지만 수급불안정과 가격 변동이 심해 가격측면에서 유리하지 않다. 지금은 수입육보다 kg당 710원 정도 저렴해 2차 육가공업체에서 대량으로 구매한다고 해도 언제 그 자리를 수입육이 다시 차지할지는 예상할 수 없다.
2차 육가공업체가 국내산 후지를 지속해서 구매할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이 필요한 이유다.
공급자는 수급에 대한 보증으로 계약이행보증서 등을 제출해 신뢰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2차 육가공업체는 공급자와 MOU·임의수시계약이 아닌 정식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이와 함께 정부가 가공·유통분야를 지원대상에 포함시켜 정부예산에 추가로 반영한다면 후지 수급 불균형 해소를 통해 돼지고기 가격도 안정시키는 등 효과는 더욱 배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후지 재고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2차 육가공업체에게 단발성이 아닌 정부의 꾸준하고 적극적인 자금지원이 이뤄져야 해결의 실마리를 풀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