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한정희 기자] 정부는 ASF 방역 정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ASF 확산을 막는 핵심 정책으로 활용 중인 광역울타리, 포획틀·포획트랩은 방어를 위한 소극적인 대책이다. 청정화를 위한 공격적인 대책은 아니다. 이러한 소극적인 대책을 중용한 정부는 결국 ASF 골든타임을 놓쳤다. 첫 단추부터 잘 못 끼우면서 ASF의 남하를 막지 못하고 있다. 우리의 최종 목적은 ASF 청정화다. 이를 위해 매개체인 야생멧돼지 개체수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한돈농장 차단방역을 한층 강화하는 등 ASF 방역 정책을 투트랙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
ASF 야생멧돼지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13일 기준 941건이 확인됐다. 2019년 55건, 2020년 858건, 2021년 28건이다. 이중 포획틀로 잡은 수는 12건, 포획트랩은 9건에 불과하다. 개체수 저감에 있어 포획틀과 포획트랩이 보조 수단에 불과한 이유다. 
ASF 야생멧돼지 폐사체는 2019년 10월 3일 DMZ 내에서 처음 발견됐다. 이후 2020년 2월 9일 강원도 화천에서 광역울타리를 처음 넘었다. 폐사체가 아닌 수렵을 통해 확인했다. 며칠이 지난 12일 화천 간동면 광역울타리 밖(1.5km)에서 2건의 폐사체가 추가로 발견됐다. 이때 ASF 방역 정책을 전면 재검토했어야 한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10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2000km에 달하는 울타리를 설치했지만 ASF 남하를 막지 못했다. ASF 야생멧돼지가 광역울타리 밖에서 발견된 것은 13일 기준 총 20건에 이른다.
강원도 영월에서 연이어 폐사체가 발견됐다. 영월에서 처음 폐사체가 발견된 것은 지난달 31일이다. 이후 7건이 추가로 발견됐다. 양양은 지난 5일에 이어 11일 폐사체가 추가로 확인됐다. 
지금이라도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야생멧돼지 개체수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 우리의 최종 목표는 ASF 확산방지가 아닌 청정화이기 때문이다. 대한한돈협회는 최근 영월군 인접 시군을 △수렵금지 △수렵제한 △제로화 지역으로 구분한 개체수 저감 방안을 정부에 제시했다. 야생멧돼지의 예상 이동 경로인 차령산맥 인접 비발생 시군부터 야생멧돼지 제로화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현규 박사(도드람양돈연구소장)는 최근 한 기고문에서 “ASF는 멧돼지와 집돼지를 오가는 질병으로, 농장의 피해를 줄이려면 야생멧돼지 개체수를 큰 폭으로 줄이고, 여러 지역 이동을 차단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번 영월과 양양 확산으로 광역수렵장 운영과 수렵 등의 부작용이 있어 중단하자는 목소리가 나올 수 있으나, 수렵 등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며 “개체수를 줄이려는 목표가 잘못된 것이 아니다. 과정의 문제들은 방법을 개선하며 해결해나가면 된다”고 말했다. 
또 “영월 발생 개체의 감염 추정일이 광역수렵장 개장일인 12월 14일보다 앞서는 12일인 점을 감안하면, 광역수렵장 운영과 영월의 발생을 연관 짓는 것은 어렵고, 그동안 광역수렵장에서 1000마리가 넘는 야생멧돼지를 포획하는 성과가 있다”고 전했다.
정부의 ASF 방역 실패로 인해 야생멧돼지 통제가 불가능 한 상황이다. 차량·사람·매개체를 통해 오염원이 유입되지 않도록 농장단위 차단방역을 강화해야 한다. 축사 출입시 장화 갈아신기, 손 소독 등 기본 방역수칙을 지키고 단계적인 시설개선이 필요하다. 정부가 ASF 방역에 대한 믿음을 주지 못하고 있다. 내 농장은 내가 지켜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