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호성 수의사회 감염병특별위원회장 제안

전국에 ‘안전지대’가 없어
모든 지자체 대책 강구를

접경 지역發 확산 방지서
‘비발생 돈사’ 중심 전환
사후 소독 등 차단 방역
이행 여부 철저 점검해야

조호성 교수
조호성 교수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ASF 멧돼지는 양돈농가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포획해 나가면서 개체수를 줄여나가야 한다.”

조호성 대한수의사회 재난형동물감염병특별위원장은 최근 강원도 영월군에서 확인된 야생멧돼지 ASF 양성 확진과 관련,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조치에 대해 이같이 제안했다.

더 이상 전국의 모든 지자체가 ASF 안전지대가 아님을 인식하고 모든 대응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것.

때문에 ‘야생 멧돼지에 의한 확산 방지 대책’과 ‘양돈장 유입을 막는 차단방역 강화’ 등 두 축을 유지한다는 전제 하에 개선된 방역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호성 위원장은 “ASF 멧돼지 관리 방향은 ‘접경 지역에서의 확산 방지’에서 영월을 포함한 ‘비발생지역에서의 양돈장 중심의 확산 방지’로 전환돼야 한다”면서 “멧돼지 시료검사 역시 기존 포획개체의 5%에서 전수검사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조 위원장은 “수렵인을 포함해 멧돼지 포획과 폐사체 수색에 참여하는 모든 인원과 장비에 대한 사후소독 등 철저한 차단방역 조치와 함께 이행 여부 점검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새로운 방역 정책을 제시하기보다는 기존의 방역 사항에 대해 현장에서 얼마나 이해해 실천하고 있는지 실제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 이를 통해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반드시 바로잡아 차단방역의 실효성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한돈협회가 지원하는 개별 양돈장 중심의 차단방역 시스템에 지자체의 방역조직이 연결된 지역방역 시스템이 구축되고 이를 농식품부와 환경부가 지원하는 새로운 형식의 ‘농장 중심의 ASF 차단방역 시스템’으로 거듭날 수 있길 제안한다”면서 “대한수의사회 재난형감염병특별위원회와 한국양돈수의사회 ASF 확산을 막는데 다양한 인적·물적자원을 제공해 방역당국·지자체와 공동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