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적 살처분 실시해도
AI발병 오히려 더 확산
산업 피해라도 최소화를
가금관계자들, ‘전환’ 촉구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정읍발 고병원성 AI가 날개를 단 듯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금농가들은 정부의 AI 정책에 강한 불신을 표출하고 있다.
현재 AI 발생농장을 포함해 반경 3km 내 가금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 등 강력한 수준의 방역을 실시하고 있지만 수그러들 기미 없이 오히려 더 확산되고 있는 까닭에서다.
이같은 이유로 기존 방역정책을 계속 이어가는 것이 과연 바람직하냐는 볼멘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가금 관계자들은 기존 AI 정책의 방향을 틀어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처럼 적극적인 방역활동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불구, 더욱 확산되고 있다는 것은 방역정책을 새로 점검하고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하는 것으로 풀이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가금업계 전문가는 “예방적 살처분 정책이 필요 이상의 경제적 손실과 함께 실질적인 방역효과에 대한 문제가 노출되고 있다”면서 “이에 따른 농가 피해와 함께 국가 예산낭비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2010~2011년 발생한 고병원성 AI는 647만3000마리 살처분, 807억 원의 경제적 피해를 가져왔고, 2014~2015년 AI는 1397만2000마리 살처분, 2381억원의 재정이 소요됐다.
또한 2016~2017년 AI는 살처분 3807만6000마리, 경제적 피해액은 3653억 원으로 추정됐으며, 2017~2018년 발생한 AI는 653만9000마리 살처분, 759억 원의 재원이 소모됐다.
올해 AI 발생에 따른 살처분 마릿수 역시 육용오리 38호 82만1000마리, 종오리 4호 1만7000마리, 산란계 21호 195만6000마리, 육계 24호 167만8000마리, 종계 7호 40만4000마리, 토종닭 6호 26만 마리, 메추리 5호 120만3000마리 등 총 105농가 633만 마리에 달한다.
현재까지 633만 마리에 대한 살처분을 실시한데다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할 때 이로 인한 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가금업계 전문가는 “이처럼 주기적으로 막대한 돈을 쏟아붓고 있음에도 불구 AI 확산을 막지 못했다는 것은 정부의 살처분 정책이 실패했다는 의미”라며 “확산을 막을 수 없다면 산업의 피해라도 최소화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는 이어 “3km 내 예방적 살처분 정책 역시 모든 가금류로 한정할 게 아니라, 차량 등 역학관계가 없을 경우 해당 축종에 대해서만 살처분을 실시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면서 “장기적으로는 AI 백신 등의 정책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고병원성 AI 발생농장은 12월 22일 현재 총 18개소로, 정밀검사 중인 농가도 4개소에 이른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