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혜진 기자] 낙농업계를 둘러싼 기운이 스산하다. 힘겨운 한해를 마무리하고 희망찬 새해를 기대해 봄직도 하지만 내년도 낙농산업 전망은 더더욱 어둡기만 하다. 
우선 연초부터 시작되는 원유 생산량 감축. 쿼터마저도 보장받지 못하고 집유주체별로 감축안에 따라 1~2년간 감축기조가 유지된다. 또 식약처가 추진 중인 소비기한도입, 퇴비부숙도 의무화, 강화되는 환경규제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수년째 지속된 음용인구 감소에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학교우유 급식 중단, 매년 줄어드는 군우유 급식 그 어느 하나 상황이 녹록치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장성이 없는 원유의 특성상 매일같이 물량은 시장으로 쏟아져 나오고 있다. 우유에 우유를 얹어주는 감아 팔기가 다시 성행하고 제 가격이 붙어있는 우유를 찾기가 어려울 정도이다. 
유업체들은 원유를 소진하기 위해 앞 다투어 할인 및 가격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결국엔 출혈 경쟁이 벌어질 수밖에…. 이 와중에 식약처가 추진 중인 소비기한 도입도  낙농가를 옥죄어 온다. 올해에는 국회 법안 소위에서 보류되면서 한시름 놓았지만 이미 던져진 화두를 쉽게 걷어내긴 어렵다.  
또 3월부터는 부숙 되지 않은 가축분뇨는 농장 밖으로 나올 수 없다. 퇴비부숙도 의무화 계도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농가들은 퇴비 배출에 더욱더 신경을 써야 한다. 갈수록 어려워지는 낙농환경 때문에 낙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더욱이 이들을 힘들게 하는 것은 그 어디에도 의지할 곳이 없다는 것이다. 
낙농산업의 주무부처인 농식품부가 곳간을 틀어막은 채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
심지어 정부가 원유 수급 불균형의 원인을 생산량 증가에 따른 공급 과잉으로 판단하고 있어 낙농업계의 공분을 사고 있다. 
생산자측은 소비감축은 차제 하더라도 최근 빚어진 원유 수급 불균형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학교우유 급식이 중단되면서 그 물량이 시장으로 흘러들어왔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농식품부는 고질적인 공급과잉으로 인한 수급 불균형으로 치부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제도개선 없이 예산을 쏟아 부어 수급 조절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못 박았다. 정부의 입장에서는 20여 년간 수급조절 예산을 쏟아 부었음에도 불구하고 수급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고 심화됐기 때문에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는 것. 
그러나 생산자의 입장은 전혀 다르다. 낙농진흥회의 태생적인 문제를 생산농가에 전가하는 꼴밖에 되지 않는다. 생산자단체는 낙농진흥회가 태생적 한계로 수요처 없는 물량을 흡수하면서 생산량이 계약량을 상회하는 구조로 출발한 것부터가 문제인데 이제 와서 생산농가들의 물량을 제한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입장이다. 
과거 2002~2003년 발생했던 수급불균형에서는 정부와 생산자가 협력해 잉여물량을 처리했다. 잉여된 800톤 가운데 정부와 농가가 각각 400톤씩을 맡아 처리키로 했으며 실제로 농가들이 400톤의 잉여를 책임졌다. 
전부 생산자의 책임으로 돌리는 현재와는 사뭇 다른 대처였다. 과연, 원유 수급 불균형이 100% 생산농가의 잘못에 비롯됐을까. 모든 책임을 생산농가가 져야 하는 것이 맞을까. 
아무리, 예산이 빠듯하다 하더라도 갑작스레 지원을 중단하고 산업 구조의 재편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당장에 해결책을 내놓을 순 없더라도 같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야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