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울타리 넘어 가평까지
출입 경로 등 파악도 못해
전국 확산 위기 긴장 고조
한돈협회 “제로화” 재촉구

 

[축산경제신문 한정희 기자] ASF 양성 야생멧돼지가 최후의 방어선으로 설정한 광역울타리를 넘어 경기도 가평까지 남하했다. 경기권에서 광역울타리를 벗어나 양성 개체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방역당국은 폐사체가 아닌 수렵 개체에서 양성이 나온 점을 고려할 때, 감염 개체가 울타리를 넘은 것으로 판단하고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그러나 ASF 야생멧돼지 개체수, 울타리 출입 경로 등은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한돈협회는 “야생멧돼지 방치로 인해 ASF를 확산시킨 무능한 환경부는 각성하고, 경기·강원남부 권역의 야생멧돼지를 즉각 제로화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한돈협회는 성명서를 통해 “ASF 국내 발생 1년 만에 감염 멧돼지가 전국으로 확산될 기로에 있다. 이런 중에도 정부는 농민에만 ASF 책임을 전가하고, 생업을 옥죄고 있다”며 “한돈농가는 무능한 환경부의 멧돼지 방역관리 실패를 좌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ASF 야생멧돼지 가평 확산은 환경부의 정책 실패가 원인이다”라며 “환경부는 야생멧돼지의 남하 저지를 위한 유례없이 강력한 대책을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구체적으로 경기·강원남부 권역의 야생멧돼지 제로화를 위해 경기남부 4개 시군(남양주·양평·광주·여주)과 강원남부 6개 시군(횡성·평창·강릉·홍천·양양·원주)을 잇는 구역을 광역수렵장으로 확대 운영하고, 수렵인 총동원을 요구했다. 
경기도의 한 한돈농가는 “ASF 유입 방지를 위해 농가는 매일 소독하고 방역시설을 개선하지만, 이 같은 노력과는 상관없이 야생멧돼지의 이동에 따라 중점방역관리지구가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ASF 야생멧돼지가 확인되면 인근 지역 한돈농장은 돼지 입식을 제한받는다. 농가의 피나는 노력에 야생멧돼지가 재를 뿌려도, 아무도 말려줄 사람이 없다”며 “농가 목숨줄을 멧돼지가 쥐고 있다. 멧돼지만도 못한 취급을 받고 있다는 생각에 서글퍼진다”고 한탄했다.
또한 “일부 전문가는 지금의 추세라면 몇 개월 내에 충청권에서 ASF 야생멧돼지가 발견될 우려가 있다고 예상한다”며 “광역울타리를 새로 설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개체수를 최대한 줄이는 정책을 함께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달 28일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개곡리에서 엽사가 포획한 야생멧돼지 4개체에서 ASF가 확진됐다고 밝혔다. 발생지점은 최남단 광역울타리로부터 1.5km 남쪽으로 떨어졌다.
환경부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2차 울타리를 설치한다고 발표했다. 포천에서 가평 이남 지역을 거쳐 춘천에 이르는 광역울타리를 설치하고, 총기포획을 유보하되 특별포획단을 투입해 포획덫 등 포획도구를 활용한 포획을 실시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