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국열 기자] 친환경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동물복지가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선 2010년 구제역 발생으로 가축 사육환경이 부각, 지난 2012년부터 산란계를 시작으로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도가 도입됐다. 하지만 동물보호단체와 소비자단체 등을 중심으로 사육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며, 산란계 농장은 시급히 개선될 사육시설로 취급받고 있기도 하다. 
예컨대 ‘케이지 프리(Cage Free)’가 대표적인데, 유럽을 시작으로 북미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점차 확대되는 상황이다. 유럽연합(EU)은 2012년부터 케이지 사육을 전면 금지했고, 미국의 다국적기업 맥도널드는 2025년까지 100% 케이지 프리 계란을 사용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국내에서도 지난 2018년 풀무원식품이 판매하는 식용란에서 모든 케이지를 2028년까지 퇴출하겠다고 케이지 프리 선언문에 서명했다. 이렇듯 케이지 프리는 세계적인 흐름을 감안할 때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케이지 사육이 과연 부정적인 면만 있는지는 생각해 봐야 한다.
케이지 사육은 산란계들을 일정한 크기의 사육 틀에 가둬 사육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 극대화, 자동 사료공급, 자동 집란 등으로 쉽고 빠른 계란 상품화가 가능하다. 또한 계절과 상관없이 항상 적정한 온도를 제공하고, 외부 포식자들로부터 안전하게 사육할 수 있다.
케이지 프리는 산란계가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지만 가축관리가 어렵고 계란이 오염되거나 깨지는 등 생산성이 떨어지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축산의 본질도 이윤을 추구하는 산업일 수밖에 없다.
아직까지 국내 절대 다수의 산란계 농가들이 케이지 사육인 상황에서 급격한 케이지 프리로의 전환은 생산비용 증가와 함께 소비자 구매비용 증가로 이어진다는 것도 깊이 고심해야 할 부분이다. 결국 케이지 프리는 생산자, 소비자, 동물보호단체 모두가 공감할 수 있을 때까지 결코 서둘러서는 안 된다. 이와 함께 케이지 프리가 국내 산란계 농장에 연착륙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예산지원과 제도적 뒷받침도 필히 요구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