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후위기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 지난 1850~1900년 13.8℃던 지구 평균기온은 지난 2019년 14.8℃로 1℃가 올랐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750년 278ppm에서 2018년 407.8ppm으로 47%나 늘었다. 
국가별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아시아 53%, 북미 18%, 유럽 17% 순이고, 누적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유럽이 33%, 북미와 아시아가 각각 29%로 나타났다. 한국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과 누적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각각 1.7%와 1%로 집계됐다.
이같은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전 세계는 대형산불, 폭염, 폭우, 허리케인, 가뭄 등의 위기를 겪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 여름 역대 최악의 폭우를 겪으며 기후위기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한 바 있다.
이에 지난 10월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 시정연설에서 ‘2050년 탄소 중립’을 선언했다. 이에 앞선 지난 2018년 인천 송도에서 개최된 제48회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총회에서도 2100년까지 지구의 평균온도 상승 폭을 1.5℃ 이하로 억제하자는 결의가 진행된 바 있다.
하지만 이같은 추세와 달리 정작 우리 농축산분야는 상대적으로 기후위기에 무관심한 실정이다.
2018년 환경부 통계에 따르면 농업분야는 매년 2080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이중 벼 재배가 30%, 농경지 토양 28%, 장내 발효와 가축분뇨도 각각 21%로 확인됐다.
특히 IPCC에 따르면 소 한 마리는 매일 500ℓ의 메탄을 방출한다. 이같은 양은 전세계적으로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의 1/4로, 10억대의 자동차가 배출하는 양보다 50%나 더 많다.
기후위기에 축산업이 자유로울 수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농축산분야에서 기후위기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것은 환영할 만하다. 암모니아·아산화질소, 메탄 발생 감축 사업 발굴, 자연순환 농업 정착, 바이오가스 발전에 대한 인센티브 도입 등이 좋은 예다.
탄소중립 시대에 축산업도 예외일 수 없다는 사실을 다시금 인지해야 한다.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