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양돈장 방역 지원 절실”

집돼지 재발 예견된 상황
방역대책 재점검 바람직
실효성 있는지 점검 필요
열화상 카메라 적극 활용
진단 효율성 극대화 해야

 

“ASF 양성 멧돼지 밀도가 높은 상황인 만큼 차단방역이 가장 중요하다. 소규모 양돈장들이 방역의 절대 기준에 도달하도록 실효성 있는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조호성 대한수의사회 재난형감염병특별위원장은 최근 강원도 화천 양돈장의 ASF 재발에 따른 방역 대책에 대해 이같이 제안했다.
ASF 양성 멧돼지 밀도가 높은 상황에서의 집돼지 재발 가능성은 이미 예견된 상황이었음에도 불구, ASF 발생을 막지 못했다는 것.
때문에 ASF의 추가 확산과 조기 종식을 위해 방역대책에 대한 보완과 개선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호성 위원장은 농장 관리자에 대한 방역교육과 함께 수의사의 현장점검이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첫 ASF 발생 이후 농장의 필수 방역설비 강화 조치에 따라 시설기준이 확립된 만큼 실제 방역조치가 실효성있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와 점검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조 위원장은 도축장에 들어오기 전 ASF 진단검사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도 피력했다.
그는 “이번 발생이 도축장 생축 검사과정에서 발견된 것은 다행이지만, 도축장에 들어오기 전 양성이 확진될 수 있도록 진단검사의 보완이 필요하다”면서 “해당 도축장을 통한 전파 방지를 위한 대응방안 마련도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모니터링 검사에 있어 방역당국은 농가당 10마리의 혈청검사와 함께 폐사한 모돈을 중심으로 검사대상을 선정하는 방안을 적용해 실효성을 거두고 있다면서도 “진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선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발열 의심축 주변을 중심으로 감염 검사대상을 선택하는 등 수의사의 임상진단을 통해 선정하는 방법이 적용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대한수의사회 재난형감염병특별위원회는 ASF 확산과 재발을 막고 양돈산업 회복을 위해 다양한 인적·물적자원을 제공해 방역당국·지자체와 공동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키워드
#조호성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