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방역정책 매년 강화
축사 낙후 단열능력 저하
호흡기질병 AI 쉽게 감염
한시적 보조 제기

겨울철 오리농가 사육제한 등 매년 강화되는 방역정책으로 오리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방안으로 오리 사육시설 개편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개호·서삼석·김승남 국회의원 주최로 지난 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오리농가 AI 방역대책 개선을 위한 국회 토론회’에 참가한 토론자들은 오리농가 사육시설 개편을 위해 한시적인 보조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오리는 타 축종 대비 가설건축물 비율이 높은 까닭에 겨울철 축사의 단열능력이 떨어져 호흡기질병인 AI에도 쉽게 감염된다는 것. 때문에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시설이 어느 정도 뒷받침돼야 한다는게 이들 주장의 근간이다.
실제 지난해 동국대에서 실시한 ‘오리 사육시설 개편방안 연구용역’에 따르면 전국 오리농가 911호의 76.3%인 695호가 하우스형 건축물로 확인됐다. 또한 AI 발생 오리농가 중 가설건축물 축사의 발생률은 무려 85.7%에 달했다.
이는 오리의 사육환경 개선이 겨울철 사육제한보다 AI 방역과 오리산업 육성에 보다 효과적인 근본대책임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는 것이다.
이날 손영호 반석가금진료연구소장은 “오리농가의 AI 발생률은 사육시설 미흡 등의 이유로 타 축종보다 높다 보니 오리농가에 대해 보다 강화된 방역조치가 이뤄져온게 사실”이라면서 “이를 개선키 위한 시설지원이 절실하다”고 역설했다.
이어 손영호 소장은 “보온이 우수하고 난방을 실시할 경우 질병 예방뿐 아니라 사육기간 단축 등의 경제적 효과도 도출될 것”이라며 “오리농가의 축사시설현대화사업을 위한 전략적 예산의 투입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김만섭 한국오리협회장도 “겨울철 오리농가 사육제한은 말 그대로 임시방편일뿐 근본적인 AI 예방대책이 아니다”라며 “오리농가의 열악한 사육시설이 강화된 방역조치의 원인이라면 지금부터라도 오리농가의 사육시설을 개편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전영옥 예진농장 대표도 이에 동의했다.
전영옥 대표는 “겨울철 사육제한으로 인해 오리산업이 직접 입은 피해만 연간 700~800억원에 달한다. 이같은 손실을 언제까지 감수할 수 없는 노릇”이라면서 “오리산업 전반이 입고 있는 직접 피해액 만큼이라도 사육시설 개선과 근본적인 방역인프라에 투자한다면 3년이면 정부의 방역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