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서 모돈 200여 마리(전체 사육마릿수 2400마리) 규모의 양돈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A씨. A씨의 농장은 정부로부터 2016년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을 받았다.
A씨가 조합원으로 소속된 B조합은 당시 생산농장부터 운송‧도축까지 동물복지를 실현한 대한민국 최초의 동물복지 인증 돼지고기를 탄생시켰다며 이를 언론 등을 통해 대내외에 알렸다.
B조합의 ‘동물복지 축산시스템의 완전 구축’은 큰 화제가 됐다. A씨 농장에도 여러 언론사 기자들의 취재가 이어졌다.
본 기자 역시 A씨 농장을 취재했기에 이전 취재 자료를 다시 살폈다. 그해 A씨는 양돈 경력 20년 차. 대학에서 양돈을 전공했고, 농식품부 산하 양돈산학협동연구회 연구원, 지역 축협 생축장 책임자, 개인 양돈농장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베테랑 양돈인이다. 
농장 부지는 약 9900㎡(3000여 평)에 분만사, 자돈사, 육성사, 비육사, 임신사, 후보돈사 등 총 6동의 돈사가 들어서 있다.      
1996년 개인 양돈농장 운영을 시작한 A씨는 2004년 노후화된 농장을 인수 후 운영해 오다 농장의 현대화와 규모 확대가 필요하다고 판단, 추가 부지를 인수하고 2012년 ICT 기반의 동물복지 축산농장인 현재의 농장을 완공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지출돼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그러나 A씨는 양돈농장 운영에 있어 확고한 철학이 있었다.  
사람의 입장인 ‘편리’와 ‘감시’보단 돼지의 입장에서 생각해 ‘편의’와 ‘돌봄’의 양축 이념을 실천하겠다는 일념으로 동물복지 축산농장을 완성한 것. 농장이 4000마리를 키울 수 있는 규모이지만 처음부터 지금까지 2400마리 사육 규모를 유지하는 것도 돼지에게 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수익 측면에서도 더 나을 것이란 확신이 있었다. 조합에서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에 따른 출하 마리당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약속을 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증 후 몇 년간은 차질이 없었다.
그런데 2년 전부터 조합에서 제공하던 인센티브가 중단됐다. ‘동물복지 인증 돼지고기’ 매출이 저조하자 조합에서 인센티브 제도를 폐지한 것. 
A씨 농장이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을 획득했던 2016년 당시 B조합은 “소비자에게 건강한 축산물을 안전하게 제공하는 것이 조합의 이념이다. 동물복지가 쉬운 길은 아니지만 가야만 하는 길이다”고 밝혀 향후 동물복지 축산농장 확대에 전념할 뜻이 확고했다. 하지만 A씨의 사례를 보면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형국이다. 실제로 아직까지 B조합의 조합원 중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을 받은 농장은 A씨 농장이 유일하다.
7월2일 현재, 우리나라 축산농장 중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을 받은 곳은 288곳에 불과하다. 그 중 양돈 부문은 2013년에 인증제도가 도입됐지만 현재 인증을 받은 농장은 19곳으로 전체 양돈농장의 1%에도 채 미치지 않는다. 한우와 육우, 오리농장은 인증을 획득한 농장이 아직까지 한 곳도 없다.
이대로라면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 제도는 ‘빛 좋은 개살구’라는 비판을 면치 못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노력에 대한 아무런 대가가 없다면 어느 누가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을 얻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까? 동물복지 축산농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인센티브 제공 등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