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축장ㆍ유통업자 공감대 형성 서둘러야

 
한우업계의 숙원사업인 한우의무자조할동자금(이하 자조금) 시대가 막을 열었다.
한우사육농가들은 당초 자조금 제도 도입을 위한 대의원 선거의 성공여부조차 불투명하다는 업계 우려를 말끔히 불식시키며 지난해 8월 말부터 11월 11일까지 치뤄진 대의원 선거에서 전국 250명의 대의원정수의 96%인 240명을 선출하는데 성공했다.
이어 한우 자조활동자금 대의원회는 지난 16일 경기도 농협안성연수원에서 창립총회를 갖고 압도적인 지지로 자조금 거출을 확정짓는 한편 자조금 관리위원 18명과 감사 2인을 각각 선출했다.
특히 한우자조금 거출 규모가 예상을 뒤엎고 2만원으로 전격 결정되면서 연간 한우도축두수와 정부의 매칭펀드(matching fund, 지원자금)를 합해 130여억원의 한우자조금 조성이 전망되면서 향후 한우고기의 소비홍보사업과 유통투명화 등 한우자조금 시행에 따른 획기적 변화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업계 전문가들은 한우자조금 사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적지 않은 과제들이 남아있다고 지적하고 철저한 준비와 협의로 난관을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우자조금 사업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자조금 시행에 대한 도축장 및 유통업자들의 공감대 형성이 급선무라는 지적이다.
비협조적인 유통업자와 도축장 등으로 의무자조금 100% 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양돈자조금이 좋은 예로 소규모 농가가 사육두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문전거래가 성행하고 있는 한우산업 유통 특성을 고려, 도축장과 한우농가는 물론 산지 한우 상인에 대한 홍보 사업도 지속적으로 펼쳐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농협중앙회와 전국한우협회 등 자조금사업을 추진하는 양단체와 구성원간의 이해와 포용력도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의무자조금 입법화 단계에서 미온적 태도를 보여왔던 농협중앙회에 대한 농가들의 불만이 여전히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사업에 대한 단체간 주도권 다툼은 자조금 사업 정착에 양분이 될 수 없다는 것.
특히 한우자조금은 농가 스스로 거출한 ‘한우농가들의 것’이라는 인식과 양단체간 공동의 노력이 없었다면 자조금 도입 자체는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공생 의식을 갖고 소비자가 한우고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홍보 방법과 제품 및 요리 개발에 매진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막대한 비용이 예상되는 유통투명화에 대한 한우농가들의 열망이 절실한 가운데 저비용 고효율 사업 추진을 위한 철저한 사전 조사와 연구, 논의도 중요 과제로 함께 대두되고 있다.
한국자조금연구원 박종수 원장은 “한우자조금사업은 농가 스스로 이뤄낸 위대한 결단”이라고 전제하고 “양단체간 상생의 노력으로 도축장에 대한 자조금 사업 공감대 형성과 다양한 홍보사업 전개 논의 등 사전 준비에 만전을 기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옥미영 기자 omy@chukkyung.co.kr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