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대한양계협회장에 이홍재 현 회장이 당선됐다.
지난달 27일 열린 정기총회에서 총 투표인 154명중 81표를 얻어 72표를 받은 송복근 후보를 꺾고 연임에 성공한 것이다.
하지만 승리의 기쁨도 잠시, 이홍재 회장이 해결해야 할 일들이 산더미다.
공급과잉으로 인한 장기불황과 함께 새로운 제도가 쏟아져나와 양계산업에 커다란 지각변동이 예고되는 등 지금이 양계업계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 양계업계는 육계와 산란계 모두 사육마릿수 과잉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육계는 생산비 이하의 시세가 상반기 내내 이어지고 있으며, 이같은 약세는 하반기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산란업계의 상황은 이보다 더 심각하다.
지난 4월 식용란선별포장제 시행에 이어 오는 7월에는 계란이력제가 시행된다.
식용란선별포장제도는 1년 유예와 1년 계도를 거쳐 지난 4월 25일 본격 시행됐지만 사실상 또다시 미뤄진 상황이다. 때문에 계란유통업체들은 수억~수십억원을 들여 설치한 설비를 놀리고 있으며, 당장 원금을 상환할 재간이 없어 막막한 실정이다.
또한 이행계획서를 제출한 농가들도 시점만 뒤로 밀릴 뿐 최소 2억원에 달하는 설비를 갖춰야 하는데다, 농가의 바람처럼 유통상인들에게 선별료를 받을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계란이력제는 또 어떠한가.
업계 종사자들은 계란이력제가 악법이자 이중규제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계란은 타 축산물과 달리 수만~수백만개 단위로 유통되는 까닭에 농장별, 산란일자별, 거래처별로 일일이 이력번호를 생성해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주변국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AI가 지속 발생중이다. 때문에 방역당국은 AI 유입차단이란 명목 하에 양계농가들의 목을 계속 조여오고 있다.
닭고기자조금과 계란자조금 정상화 역시 이홍재 회장이 풀어야할 숙제다.
새로운 출발선에 선 이홍재 회장의 행보에 양계업계의 미래가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홍재 회장의 어깨가 무거울 수밖에 없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