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면서 국가 산업 전반에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농축산 분야도 각종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많은 농축산인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농연 등 농축산 단체에 따르면 실제로 코로나19 확산 우려에 따른 초·중·고 개학 연기로 학교급식 납품농가들이 판로를 잃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선 채소류를 비롯한 일부 농산물의 경우 저장성이 낮아 보관이 쉽지 않다보니 헐값에 판매하거나 산지 폐기를 할 수밖에 없다. 졸업식과 입학식을 비롯한 각종 행사의 전면 연기나 취소에 따른 화훼농가의 피해는 더욱 심각하다.   
또한 농촌 인구 고령화와 후계인력 부족으로 인력부족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 계절근로자 입국이 연기되며 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업 특성상 시기를 놓치면 한해 농사를 망칠 수도 있어 농가의 근심이 나날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농업분야 지원 대책으로 화훼소비 촉진, 외식업 긴급 지원 방안, 수출 지원 대책, 농업경영회생자금 및 재해대책경영자금 대출, 외국인 계절근로자 대체 인력 확보 및 농촌인력중개사업 확대, 농축산경영자금 상환연기 및 이자감면, 초·중·고 가정 농산물 꾸러미 지원사업 등을 내놓고 농업인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그러나 이것으론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농축산 단체들은 좀 더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며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코로나19 관련 제1차 추가경정예산에 농축산 부문은 단 한건도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제2차 추가경정예산마저 긴급재난지원금 예산 확보에 초점을 맞춘 만큼 농축산업계는 제3차 추경예산을 기대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런데도 오히려 정부는 농어업재해보험금 등 농업예산을 700억원 가량 감액해 농촌 현장에서는 또다시 농축산업 홀대론이 불거지고 있다. 
이처럼 코로나19 추경과 관련해 농축산업계의 소외감이 나날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2일 열린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3차 추가경정안예산 논의를 곧바로 추진해 달라.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현재 3차 추가경정예산 편성이 추진 중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며 베트남, 캄보디아, 러시아 등 주요 곡물 수출국이 수출을 중단했다. 이는 식량이 무기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로 2018년 기준 식량자급률이 46.7%에 불과한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번 사태가 종식되더라도 언제든지 고위험성 바이러스가 유행할 수 있다. 실제 코로나 사태 이전에도 우리는 2002년 사스,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겪은바 있다. 이 때문에 이번 일을 반면교사 삼아 식량주권 사수를 위한 대책 마련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우리나라는 불과 몇십년 전까지만 해도 식량부족 국가였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이유로 농축산업을 국가 기반산업으로 인지하고 그에 걸맞은 관심과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이에 코로나19 사태로 불거진 농축산업 분야 피해를 빠른 시일 내에 복구할 수 있도록 기존 대책을 확대 실시하는 것과 더불어 추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앞으로의 추경예산에 농축산업 분야도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